과기한림원·공학한림원, 18일 ‘한국의 기초연구 현재와 미래’ 토론회 개최

[한국대학신문 이재익 기자] 창의적 기초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연구자들이 직접 나서 정책 대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 분야 석학단체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이명철)과 한국공학한림원(회장 오영호)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의 후원으로 18일 서울 양재동 엘 타워에서 ‘한국의 기초연구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 기초연구 수준과 정책 제안’ 주제발표에 나선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서울대 교수)은 국내 기초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연구자 관점에서 기초연구 지원정책 및 평가제도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 국 이사장은 “기초연구는 기초과학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 응용이 전제되지 않은 공학연구와 의·약학 분야의 발견 연구를 포함한다. 새로운 산업 창출과 새 시대의 과학기술 인력 양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가 필수적”이라 강조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총괄부원장을 좌장으로 배영찬 한양대 교수, 서은경 전북대 교수, 이재용 연세대 교학부총장, 이희윤 KAIST 연구부총장, 장철훈 부산대 기획처장 등 기초연구 및 과학기술 정책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연구·정책·평가 등의 분야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했다.
서은경 교수는 연구자를 위한 연구방안에 대해 △기반 구축과 연구 지원 제도 △연구주제 선정의 자율성·다양성 확보 △연구활동 전념 시간 확보 △연구 인력 순환 체계 정상화 △연구 장비 및 시설 구축과 활용 등 다섯 가지를 제안했다.
또한 정책 부문에서는 배영찬 교수가 우수한 젊은 연구자 발굴 및 지원 제도와 연구환경의 국제화 방안을 발표했고 이희윤 부총장은 연구의 효율성·투명성 확보를 위한 연구비 관리 정책 대안을 발표했다. 평가 부문에서는 장철훈 기획처장이 △평가자 확보의 어려움 △평가에 소요되는 예산 배정의 인색함 △정성평가에 대한 이중적 태도 △결과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을 지적했다.
한편 한국연구재단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논의결과를 정책에 반드시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