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성공 위한 WISE 모델 수립
미래산업 선도 연구분야 육성
산·학·연·관 TUNE-UP 모델 구현

2019 AWS Univ.expo with sookmyung
2019 AWS Univ.expo with sookmyung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숙명여자대학교(총장 장윤금)는 ‘세상을 선도하는 글로벌 숙명’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중장기발전계획의 연속선상에서 6대 중점 전략 중 교육 혁신전략, 연구 혁신전략, 산학협력 혁신전략을 집중 추진한다.

미래 수요 맞춤형 교육 통해 대학 경쟁력 확보
숙명여대는 수요 맞춤형 교육을 위해 먼저 전공 내 모듈과 트랙을 개발해 학생자율설계교과/전공도입으로 학생의 선택권을 확대했다.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을 강화하기 위해 사회수요기반교육 프로그램도 확대 운영했다. 해당 프로그램으로 재학생들의 사회진출 역량을 강화하고 공학적 사고·지식을 갖춘 비공학계열 인력을 양성했다. 또한, 2020 교양교육과정 개편으로 교양교육체계를 고도화시켰다.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CQI 고도화는 학생교육혁신단 운영으로 우수 제안 모델의 학사 행정 반영과 비교과통합관리체계 구축 및 인증제 도입을 통한 환류체계를 구현했다.

연구 분야에서는 미래산업 선도 연구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그 방안으로 IMPACT 모형기반 문제해결형 연구를 활성화했다. 연구 활성화 일환으로 지역협력연구센터를 지정하고 연구 인력을 확보, 용산지역 관련 다학제간 융합연구사업 협의체를 운영했다. 여기에 지역기반 융합교과를 개발해 지역현안 중심 문제해결형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산학협력 분야에서는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기반 확립에 중점을 뒀다. 신산업 중심의 기업과 네트워크를 형성, AWS 산학협의체를 운영해 신산업분야의 교육과 연구 역량을 강화한 것이다. 미래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강화를 목적으로 미래산업기술분야 잡(JOB)페어, 클라우드컴퓨팅 실무교육과정, AWS 공동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를 통해 미래수요분야에 대한 재학생의 관심과 진로 선택을 지원해 대학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학생 스스로, 학생중심 교육혁신
성과는 다방면에서 나타났다. 학생중심교육혁신으로 `학생교육혁신단'의 운영을 들 수 있다. 학생 스스로 교과, 비교과, 학사제도 등에 대한 문제를 발견하고 의견을 제안하는 프로그램이다. 참여 학생들은 팀별 미팅을 통해 주제를 정하고 중간보고로 유관부서의 피드백을 받는다. 이후 최종적인 결과물을 제출해 결과보고회에서 최우수팀을 선정한다.

최우수팀은 숙명여대의 연계전공 제도의 개선을 위해 학사팀과의 면담, 타 대학의 사례조사 등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자율설계연계전공 교육과정 설계와 이공계 기초과목 중복 인정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대학은 학생들이 제시한 개선 의견을 학사제도 및 교육과정 운영에 반영해 학생중심의 교육혁신을 구현한다.

융합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창의 인재 양성
융합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으로 창의·문제해결능력을 배양했다. 2000년부터 PBL 교과를 중심으로 교수법 기반 교육과정을 혁신해왔다. 뿐만 아니라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양적 확대와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다. 문제해결형 교과의 질적 고도화를 추진해 클러스터를 구성했다. 재학생들이 학년에 따라 기초부터 융합까지 단계별로 문제해결교과를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융복합제품디자인및개발’ 캡스톤교과는 화공생명공학부 교수와 산업디자인과 강사가 공동 운영하고 다양한 계열의 전공 재학생들이 수강한다.

‘신상품개발이론과실습’ 캡스톤 교과는 경영학부 교수, 환경디자인과 교수, 융합학부 교수가 공동 운영한다. 수강하는 학생들의 다양한 전공을 고려해 적절하게 팀을 구성, 융합적 문제해결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유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교수자는 서로 다른 측면에서 접근해 해결방안을 도출하고, 학생들은 문제해결 기법을 결합해 다양한 시제품을 만든다.

지역사회와 동반성장
지역협력연구센터 운영으로 지역사회의 인문학적, 전문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에 토대를 마련했다. 이 센터는 지역 현안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추진은 물론, 교육영역에서 지역과의 협업을 확대해 대학과 지역사회의 동반성장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역협력연구센터는 용산지역 관련한 다학제간 융합연구사업 협의체를 운영 중이다. 그 중 용산기지를 활용한 지역기반 융합형 연구 및 교과개발 협의체는 용산문화원 및 건축사무소 이로재의 교과·비교과 개발 협력과 지역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교과 개발 완료 등을 추진했다. 그밖에도 과학기술-문화예술 큐레이터 및 전문가 양성 협의체는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을 융합하고 교육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서울시립미술관>, <갤러리아노이트178>, <이응노미술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다.

해외 유수 기업과 산학협력 추진
숙명여대와 AWS의 산학협의체는 클라우드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했다. 글로벌 선도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와의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산학협의체를 구성한 것이다. 현재 교육·연구·학생지원 등 대학 전반에 걸쳐 산학협력의 사례를 만들고 있다. AWS는 숙명여대와 함께 학생들의 취업 및 창업을 위해 다앙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클라우드컴퓨팅 관련 기업이 참여하는 채용 박람회인 ‘AWS Univ.Expo with Sookmyung’을 개최해 이력서를 제출한 45명의 학생 중 6명의 학생이 최종 합격하는 쾌거를 거뒀다.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WIC해커톤 powered by AWS 대회도 운영했다. 참가한 학생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기반 앱을 개발하며 경험을 쌓을 뿐 아니라 창업 기회도 얻을 수 있었다. 이 외에도 경영학과 강좌 사례 콘텐츠와 나노 디그리(Nano Degree) 교육과정을 공동 개발, 외부 플랫폼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인사말] 장윤금 숙명여대 총장, “세상을 선도하는 글로벌 대학으로 발돋움”

숙명여대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세상을 선도하는 글로벌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대학발전계획을 실현하고 있다. 교육과 연구, 산학협력 세 가지 영역에서 각각 학생 선택권 확대, 융·복합 연구의 활성화, 사회수요 맞춤형 대학혁신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2019년 1차년도 사업운영에서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대학혁신 전략과의 연계성 △자율성과지표와 프로그램 운영성과 △자체평가체계 및 환류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A등급을 획득했다.

교육혁신 분야에서는 학생의 행복과 성장을 최우선의 가치로 하는 WISE 교육혁신 모델을 수립했다. 특히 우리 대학 고유의 교수학습지원체계인 WISE-STONE3[cube] 모델을 통해 학년별로 맞춤형 교과를 개설하고, 문제해결 중심의 수업을 확대했다. 또한 수업의 우수 성과물을 산업체에 이전하거나 실용화해 산학협력 성과로 확장하는 등의 성과도 거두고 있다.

연구혁신 분야에서는 문제해결형 연구활성화를 목표로 지역협력연구센터를 신설하고, 지역협업 전문 인력을 확보했다. 용산지역 현안 도출을 위한 협의체 운영 등 소통 창구 역할을 시작으로 연구과제 생성, 나아가 ‘용산지역협력과 문제해결’이라는 융합교과 개발 및 운영으로 그 범위를 교육으로까지 적용 및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올해는 용산구, 서울시와 연계해 숙명여대 연구 특성화 분야 중 하나인 ‘스마티 시티’를 과제로 선정 및 추진 중이다. 

산학협력 분야에서는 클라우드컴퓨팅 선도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우수한 산학협력 성과를 만들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표 요소기술인 클라우드컴퓨팅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 연구, 창업, 취업 영역에서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그 성과를 바탕으로 해커톤, 잡페어 등 공동행사를 개최해 폭발적으로 사회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분야에 집중 지원하고 있다.

숙명여대는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고, 대학의 미래를 제시하기 위한 고민을 발전계획에 반영해 추진할 계획이다. 연구 영역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숙명 연구 클러스터’와 글로벌 개방형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글로벌 숙명’ 캠퍼스
구축 계획을 구체화하겠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이 마무리되는 2022년까지 선도적인 글로벌 온라인 교육과정을 개설해 각국의 인재가 모이는 대학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