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실력 향상은 ‘덤’···정부가 비용 보조해야

전문대학들이 공동학위제를 통해 외국대학을 벤치마킹하고, 학생들의 어학실력을 높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교육과학부가 ‘국내대학과 외국대학과의 교육과정 공동운영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확정·고시하면서 더욱 활기를 띌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개정에서는 외국대학의 교육과정 도입 방법이나 절차를 해당 대학 간 약정으로 자율추진 할 수 있게 하는 등 대학의 자율성을 확대, 대학 참여가 늘어날 전망이다.

대원과학대는 지난해 11월 29일 영국 브래드포드 대학과 공동학위제를 체결, 이번 학기부터 건축인테리어계열 신입생 22명을 받았다.

영국의 교육과정 모델과 교육과정을 상호 비교한 후 영국의 준학사 학위 인증에 합당한 교육과정 여부를 확인, 올 1학기부터 공동학위제를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 교육개발원에 해당하는 BTEC에서 제시하는 27개 교과들 중 필수과목 7개, 전공과목 9개, 총 16개 교과를 이수하는 조건이다.

이재열 건축인테리어계열 교수는 “공동학위과정에 대한 홍보는 실질적으로 2008년 1월부터 시작했지만 공동학위 교육과정에 대한 신뢰감으로 학생들이 지원했다”면서 “학생들이 전공 교과목 외에도 영어공부에 대한 관심이 아주 높은 상태다. 영어에 대한 높은 관심과 유학에 대한 강한 동기를 주는 것 같다”고 밝혔다.

안산 1대학 관광영어과는 지난 해 1학기부터 영국 국립 치체스터 대학과 ‘교육 과정 공동 운영 협약’을 맺어 공동학위제를 시행 중이다.

관광영어과 교수들은 1년에 한 번씩 일주일 간 교육과정 운영 등을 논의하기 위해 치체스터대학 관광경영과 교수들을 만나 워크숍을 한다.

권혁경 관광영어과 교수는 “학사학위 운영에 대해 협의하면서 영국의 발전된 교육과정과 교육시설에 대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혔다.

학생들의 어학 실력 향상도 장점 중 하나다. 권 교수는 “복수 학위과정을 듣는 학생들은 대개 졸업 후 장래에 외국대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해외취업을 원하고 있다. 복수학위제가 상당한 동기부여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복수학위 과정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90%는 교육부 전문대학 해외인턴십 사업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미 60%가 외국어 시험 등을 통과했다. 다른 학과가 30%에 불과한 것과 비교할 때 두 배에 달하는 비율이다.

영남이공대학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계분야 해외 복수학위과정으로 협약을 체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지난 2005년 9월부터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럼비아 공과대학과 기계설계분야 복수학위 과정 협약을 체결하고, 정원 50명의 YNC-BCIT Mechanical Design과를 신설했다.

양교에서 공동으로 마련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영남이공대학과 BCIT의 졸업장을 각각 수여한다. 수여 후에는 BCIT의 학사과정인 BTech의 3학년으로 편입이 가능하며, 2년을 더 공부하면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공동학위제를 시작한 후부터 총체적인 질 관리를 위해 영남이공대학 교수진과 BCIT 책임교수그룹이 과목의 수정과 개정, 성적평가, 교수법 및 기타 효율적인 과정운영을 매년 2차례 간담회에서 결정한다.

동의과학대학은 지난 2006년도에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공과대학과 국내 전문대학으로서는 처음으로 직업 교육으로 정보기술 분야 공동학위과정을 개설했다.

양 대학의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공동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한 후 교육의 질을 점검하는 과정으로 공동학위제를 추진했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공과대학의 필수전공과목 60~70%와 한국의 지역 기반 IT 산업 수요 과목 30~40%를 반영, 양 대학 교육과정의 강점을 융합한 사례다. 이와 함께 강의 품질을 표준화하는 등 체계적인 교육 운용 체계를 도입, 운영한 점도 성과다.

한편, 공동학위제 추진에 따른 비용 문제와 해외 대학들의 운영 과목 소화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한 대학 관계자는 “해외 대학과 공동학위제를 하고 싶지만 대학이 투자해야 할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는 “아무래도 외국 과목을 국내에서 가르치려면 문제가 따르게 마련 아닌가”라고 말했다.

정부의 전문대학 지원 역시 문제로 남아있다. 양한주 전문대학교육연구학회장은 “투자 비용에 비해 얻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비용을 굳이 문제라고 할 수는 없다”며 “이러한 비용을 정부가 적극 보조해 줘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해 정부가 개정안을 확정·고시했지만 피부에 느껴질 정도는 아니다”라며 “전문대 발전을 위해 정부의 보조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