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업고 등 9개 직업계고 41개 실험, 실습실 대상

광주교육청 전경.(사진=광주교육청 제공)
광주교육청 전경.(사진=광주교육청 제공)

[한국대학신문 이중삼 기자] 광주교육청(교육감 장휘국)은 직업계고 실험·실습실 유해물질 발생 실태조사를 위한 작업환경 측정을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작업환경 측정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하는 측정으로 광주공업고 등 9개 직업계고의 41개 실험·실습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작업환경 측정은 고용노동부에서 지정한 작업환경측정 기관인 ‘대한산업보건협회’에 위탁해 실시되며 직업계고에서 선반·밀링, 도장, 용접, 납땜 등의 실험·실습 가운데 발생할 수 있는 유해인자에 학생들이 노출되는 수준을 파악한다.

광주교육청은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활용해 실험·실습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실험·실습실 유해환경 개선 사업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지난해 측정 결과를 참고해 해당 실험·실습실 이용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도 실시하고 있다. 

백기상 중등교육과 과장은 “올해 작업환경측정을 위해 대상 학교의 실험·실습수업에서 사용하는 재료를 확인하는 과정을 마쳤다”며 “학생들이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환경에서 수업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