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조영은 기자] 아주대학교(총장 박형주)는 윤태종 약학과 교수가 나노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해 췌장암 치료제를 개발했다고 17일 전했다.
윤태종 교수와 조영석 가톨릭대 교수(의과대학 소화기내과)는 나노 입자 전달체에 두 가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유전자 가위 단백질 소재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두 가지의 유전적 이상 부위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편집, 새로운 췌장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관련 내용은 ‘약물 내성 췌장암 치료를 위한 원샷-이중 유전자 편집(One-shot dual gene editing for drug-resistant pancreatic cancer therapy)’ 논문명으로 저명 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11월 1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제는 유전자 변이로 인해 현재 췌장암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젬시타빈(Gemcitabine)에 저항성을 보이는 환자들을 위한 것이다. 젬시타빈은 뉴클레오시드 화합물로 췌장암 세포 안에 흡수돼 유전자에 삽입됨으로써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그러나 췌장암 환자의 약 55% 정도는 두 유전자(KRAS, P53)에 동시 변이가 있어 젬시타빈 약물로 치료 효과를 보기 어렵다.
윤태종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는 유전자 가위 기술로 암세포의 유전자 변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편집해 냄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인다. 연구팀은 그동안 유전자 가위 기술의 한계로 남아 있던 유전자 가위 단백질 소재의 혈관 내 분해 문제를 해결해 냄으로써 새로운 췌장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윤태종 교수는 20여 년간 바이오 물질을 효과적으로 세포나 조직에 전달할 수 있는 나노 바이오 분야를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유전자 가위 기술의 한계로 지적돼 온 △낮은 체내 안정성과 세포 침투율 △국부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등을 극복하고자 나노 기술을 접목하는 연구에 집중해 왔다. 아주대 산학협력단 산하 엔포유기술지주회사의 자회사인 ㈜무진메디의 대표를 맡고 있는 윤 교수는 회사를 통해서 임상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