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산학협력처단장협의회 4일~5일 제주서 ‘2021년 동계 세미나’ 열려
한광식 원장 ‘지자체 협력 통한 전문대학 평생직업교육 정체성 확보’ 발제
RIS(Regional Innovation System), LIS(Local Innovation System)의 개념 설명
지방정부와 전문대의 산·학·연·관 협력시스템 구축, 지역사회 내 전문대 역할론 내세워

한광식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사진=이중삼 기자)
한광식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사진=이중삼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중삼 기자] “농어촌지역의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기초지방정부와 전문대학의 상생발전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문대학산학협력처단장협의회 주최로 지난 4일 제주 메종글래드호텔에서 열린 ‘2021년 한국전문대학산학협력처단장협의회 동계세미나’에서 한광식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은 ‘지자체협력을 통한 전문대학 평생직업교육 정체성 확보’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 같이 말했다. 한광식 원장은 전문대학의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기초지방정부와의 협업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원장은 발제에 앞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 Regional Innovation System)의 개념과 자신이 작명한 ‘LIS’(Local Innovation System)의 개념을 설명했다. 

그는 “RIS 사업의 주요 내용은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양성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혁신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며 “LIS는 제가 작명한 개념이다. LIS는 기초지자체와 지역대학이 중심이 돼 지역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혁신시스템 구축을 뜻한다. 지역쇠퇴가 심각한 기초지자체와 농어촌지역 소규모대학의 실질적인 자구책 마련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힘줘 말했다. 

한 원장은 두 기관의 협업은 엄청난 시너지로 이어질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기초지방정부는 지역활성화와 일자리 안정, 산업 육성 등에 두루 관심을 갖고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기관이다”며 “전문대학은 지역에서 원하는 인재를 배출하고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두 기관이 협업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로 ‘인구 소멸’에 주목했다. 인구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두 기관의 상생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비수도권 기초지자체에서는 전문대학과의 협업이 더욱 절실하다. 지역인재 유출이 심각하기 때문”이라며 “지역 학생들이 그 지역에서 생계의 터를 잡고 정주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하지만 이들의 정주여건 마련을 위한 지원책은 미흡하다. 기초지자체는 지역 내 전문대학들과 더욱 긴밀히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현재 농어촌지역의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기초지방정부와 전문대학의 상생발전 확산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발전의 핵심주체로서의 전문대학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며 “기초지방정부와의 협력적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하며 중앙정부 차원의 지역특화산업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도 절실히다”고 역설했다. 

그는 대학 차원의 ‘지역코디네이터’ 역할에 대해서도 중요성을 조명했다. 지역코디네이터는 기초지방정부가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핵심전문가가 포함돼 지역문제를 공동해결하고 지역에서 추진하는 사업들을 조율·연계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문가를 말한다. 그는 “대학 차원에서 지역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기초지방정부와 전문대학의 협력으로 생기는 장점도 설명했다. 그는 “기초지방정부 측면에서는 경쟁력 있는 지방자치제도 운영과 전문성을 지닌 인력확보를 통해 기초지방정부의 각종 과제를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가능하다”며 “전문대학은 지역사회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취업활성화를 비롯해 교수의 지역단위 정책개발과 공동개발 등 역량발휘의 기회가 제공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기초지방정부와 전문대학의 산·학·연·관 협력시스템 구축이 이뤄져야 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아울러 그는 두 기관이 협업하는 데 있어 장애물이 되는 요인들을 추가로 설명하며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4가지 방안을 소개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기초지방정부-전문대학 협력시스템 구축 △기초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전문대학 활용 △전문대학 산학협력단의 적극적인 기초지방정부 활용 △기초지방정부-전문대학 발전방안 마련 등이다.

지역사회 내 전문대학의 역할론도 언급했다. 그는 “전문대학은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실용적이며 사회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대학의 주기능인 교육과 연구활동을 지역사회와의 상호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으로 가시화시켜야 한다. 여기에 전문대학 학생들의 지역구성원으로서의 역할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