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캐나다 등 선진국에 2022년 28명 취업, 최근 6년간 89명 취업
[한국대학신문 조영은 기자] 대구보건대학교(총장 남성희) 치기공과가 코로나19 영향으로 해외 취업의 문이 좁아진 가운데 2022년 28명의 학생들을 미국·캐나다·독일·호주 등의 덴탈 랩(Dental Lab) 회사로 취업시켰다.
대구보건대 치기공과에서는 2022년 28명을 포함해 2020년 12명, 2019년 9명, 2018년 15명, 2017년 11명, 2016년 14명의 학생들이 해외 취업했다.
치기공과는 총장부터 학과 교수까지 선진국형 신규 일자리 발굴에 적극 나서 학생들이 우수한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도왔다. 특히 노동 비자 취득과 현장직무, 근무조건 협의 등의 세일즈도 활발히 펼쳤다. 학과에서는 현지 취업처의 니즈를 파악하고 해외취업특별반에 반영해 교과과정을 개편·운영하는 등 창의융합 교육모델과 프로그램을 체계화 했다.
특히 대구보건대는 고용노동부의 청년해외진출(청해진) 사업 일환으로 운영하는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해 학생들의 해외 취업을 지원한다. 해외취업특별반 운영프로그램은 1학년(60시간, 30주 영어 교육), 2학년(360시간, 36주 영어·직무·해외 전공실습 교육), 3학년(600시간, 27주 전공영어·직무·전공실습 교육) 등 1년간 모두 1020시간의 교육으로 이뤄진다. 최근 5년간 84명의 치기공과 재학생들은 미국, 캐나다, 독일로 2학년 여름·겨울방학 6주와 3학년 겨울방학 4주 기간 동안 해외 연수기간을 소화했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부터 중단됐던 해외 현장실습도 올해부터 다시 시작할 예정이다.
대구보건대는 2022년부터 5년간 인도네시아 치기공과를 지원하는 국제협력선도대학(5년, 17억 원)에 선정돼 인도네시아 내 신규 취업처도 확보할 계획이다.
해외취업특별반을 수료한 김광현 씨는 2021년 치과기공사 국가면허시험에 전국 수석을 차지했고 현재 미국 시카고의 ‘LSK 121’ 덴탈 랩에 취업했다. 김 씨는 “입학과 동시에 해외취업을 준비하면서 지속적으로 영어공부를 하고 있고 디지털 치과기공에 대한 관심이 커져 파샬, 임플란트, 심미보철 분야에 3D 프린터 장비를 활용해 치과기공물 제작공정 개선과 디지털 제조 표준모델 기술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며 “한국·대구보건대의 치기공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를 무대삼아 대규모의 기공소를 경영하는 것이 꿈이다”고 말했다.
최병환 교수는 “미국·캐나다·뉴질랜드 영국 등 영어권과 독일 등 선진 4개 국가 외 인도네시아 등에 취업을 하는 치기공과는 우리 대학이 유일한데다 댈러스·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워싱턴·시애틀·뉴욕·벤쿠버·프랑크푸르트 등 재학생들이 선호할 만한 도시에서 근무하면서 학생들의 취업 만족도도 매우 높다”면서 “학생의 성공이 대학의 성공이라는 자세로 학과에서는 취업의 질을 우선적으로 따져보는 등 취업 이후에도 이력 관리에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