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국립 인천해양대학교 설립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기존의 부산 한국해양대학교와 목포해양대학교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시도 23일 인천해양대 설립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함에 따라 세번째 국립해양대학교 설립추진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인천시는 12일 약 6천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송도국제도시 제11공구 또는 영종지구 등지에 한국해양대학교와 비슷한 규모의 부지(46만2천350㎡)를 마련해 새로운 국립해양대학교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설립추진 배경을 현재 해양관련 대학교가 부산과 목포에만 있어 해양.수산 교육을 받기 위해 남부지역으로 이동해야하는 수도권 학생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또 경인운하와 송도신항 건설로 국제 물류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인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해양대학교 설립은 필수적이라는 것이 인천시의 주장이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정비법에 따라 종합대학을 설립할 수는 없지만 연구중심 대학 등 특성화 분야의 대학은 설립할 수 있다"며 "해양대가 인천에 세워지면 동북아 물류중심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부산의 한국해양대학교와 목포해양대학교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두 학교는 모두 성명을 발표해 "인천해양대 설립은 정부의 국립대 통폐합 정책에 배치될 뿐만아니라 수도권집중화를 부추기는 발상"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해양대학교는 "해기사 인력양성은 규모에 비해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 사안으로 추가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면 새로 해양대학을 신설하기보다는 기존 해양대학의 정원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목포해양대학교 역시 "만약 인천 지역에 해양관련 전문 인력의 공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 해양대학을 신설하기보다 기존 해양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투자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밝혔다.

목포해양대는 또 "우리나라는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많은 해기사를 양성하고 있다"며 "안정적 해기사 수급을 위해서도 해양대를 신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부산시도 거들고 나섰다. 인천시가 새 국립대를 신설하겠다는 것은 기존 해양대학교의 위상을 떨어뜨릴 뿐만아니라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역갈등을 부채질할 우려가 크다는 것.

부산시 관계자는 "지금은 중.장기적 차원의 체제정비로 신 해양시대를 준비해야하는 중대한 시점"이라며 "인천해양대 설립 추진은 가뜩이나 심각한 수도권 집중현상을 심화시키는 시대역행적 발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한국해기사협회는 현재 해양업계가 해기사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공급보다는 관리.지원 측면의 문제가 더 크다는 입장이다.

연간 배출되는 1천여 명의 해기사는 업계의 수요를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숫자지만 젊은 해기사 가운데 상당수가 열악한 근무여건을 견디지 못하고 배를 떠나고 있다는 것.

해기사협회 관계자는 "어느 지역에서 해기사를 배출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막 항해를 시작한 젊은 해기사를 어떻게 관리하고 지원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