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부총리 충남대 방문해 학계, 산업계, 학생들과 간담회 통해 의견 청취
사교조·대학정책학회 등 “수도권 반도체 학과 증원 계획 철회해야”

박순애 부총리가 25일 충남대 반도체 현장을 방문해 간담회를 가졌다. 사진은 19일 반도체 인력양성 방안 브리핑 모습. (사진= 교육부)
박순애 부총리가 25일 충남대 반도체 현장을 방문해 간담회를 가졌다. 사진은 19일 반도체 인력양성 방안 브리핑 모습. (사진= 교육부)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수도권과 비수도권 구분 없이 역량과 의지를 가진 대학은 증원을 지원한다는 게 원칙”이라며 반도체 관련 정부 정책에 변함이 없음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했다.

박순애 부총리는 지난 25일 충남대를 방문해 반도체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박 부총리는 충남대 현장을 방문해 학계와 산업계 관계자, 관련 학과 학생들과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간담회에서는 반도체 산업별 수준에 맞는 인력 매치와 석·박사급 인력 양성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박 부총리는 “대학-기업 간, 반도체 분야 간, 지역 간 다양한 측면에서 인력 미스매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정책 추진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역 대학의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지역대학 정상화 촉구를 위한 단체 연합은 같은 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반도체 학과 수도권 증원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수도권 반도체 학과 증원은 지방대학 시대라는 정부 구호에 역행한다”며 “수도권 쏠림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반도체 학과 증원으로 수도권 대학의 입학 정원을 늘린다는 것은 지역대학을 깊은 수렁으로 몰아넣는 꼴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수도권 입학 정원을 늘리지 않아 첨단과학 분야 인재가 부족한 것처럼 호도하고 있지만 인재 양성 부족은 수도권 대학 정원이 아닌 제대로 된 투자가 이뤄지지 않은데 원인이 있다”면서 “반도체 산업 혁신을 위해 더 정교한 산업인력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이를 위해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나누기가 아닌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신설, 공공성이 담보된 지역고등교육위원회 구성 등을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