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권역 비수도권 국·사립대 총장, 31일 유기홍 위원장과 간담회
정부, 반도체 분야 수도권 학과 증원 발표하면서 집단 반발 불러
대학 총장들 “수도권 정원 증원은 국정과제인 '지방대학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
오지희 영상기자
[한국대학신문 장혜승 기자] 지방대 총장들이 수도권 대학의 반도체 정원 확대 정책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기존 정원 감축 정책에 역행하는 수도권 대학의 학부 정원 증원이 지역소멸을 부추긴다는 우려에서다. 비수도권 7개 권역 국·사립대 총장들은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학령인구 급감 등 지방대를 직접 타격하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수도권 학과 증원에 우리 지방대 총장과 구성원은 매우 분노하고 있다”며 “보다 지방대학을 살리는 방향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31일 ‘비수도권 7개 권역 대학 총장협의회 연합(회장 이우종, 청운대 총장)’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을 만나 반도체 인력 양성과 관련한 수도권 증원을 반대하는 지역대학의 입장을 전달했다. 7개 권역 대학 총장협의회는 비수도권 7개 권역의 127개교 국·사립대 총장들로 구성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수도권에 본교가 있는 대학을 제외한 108개 대학이 뜻을 같이 했다.
이들은 이날 유 위원장에게 “정부가 수도권 대학의 정원 규제 완화를 검토하는 것은 지방대 시대를 표방한 국정과제에 반하는 정책”이라며 “지역대에 직접 타격을 주는 수도권 증원 정책은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내 반도체 인력 부족 현상을 지적하며 해당 분야의 인재 양성 확대를 주문했다. 이에 따른 조치로 교육부가 지난 7월 향후 10년간 15만 명의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골자로 첨단분야는 교원 확보만 되면 학과 신설이나 증설이 가능하다는 정책을 발표해 지방대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유기홍 위원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낳은 대학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북대와 같은 지방거점국립대조차 첨단학과 교수를 확보하기 쉽지 않은 현실에서 교육 재정을 전반적으로 늘리고 지역인재 채용과 같이 지방대 생태계를 살리는 정책들을 정부에 적극적으로 요구하겠다”고 답했다.
지방대 총장들은 간담회 후 국회 소통관으로 이동해 도종환 국회 교육위원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교육부에 수도권 학과 증원을 철회해주길 요구한다”며 “이번 수도권 학과 증원은 교육부와 대학이 지금까지 함께 강력히 추진해오고 있는 대학정원 감축정책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효과성도 의문인 일관성 없는 방안이기에 우리 지역대학 총장들은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지난 7월 발표된 교육부의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은 반도체 전문가들조차도 어설픈 진단에 근거한 설익은 대안이라고 비판하는 실정”이라며 “지방대도 살리고 질 높은 반도체 인력도 양성할 근본적 방안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대학정원 증원이라는 손쉬운 방식으로 인력양성을 하겠다는 교육부의 시대착오적 발상은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지난 7월 22일 개최된 국가거점대학총장협의회에서는 정원 증원이 아닌 자체 구조조정을 통해 정부에서 요구하는 만큼의 반도체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며 “우리 7개 권역 대학 총장협의회 연합은 이러한 국가거점대학들의 의지가 향후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정부의 인재양성정책에 적극 반영되기를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들 지방대 총장들은 지난달 박순애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수도권 정원 규제 완화 정책의 부작용과 폐해에 대한 우려를 전달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