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교수팀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 1차년도 결과 발표
감염병 대응 의료시스템 문제점 확인…대응 인력 양성 주장

서울 소재 한 대학에서 건물에 대한 방역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서울 소재 한 대학에서 건물에 대한 방역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윤은경 경희대학교 간호학과대학 교수 연구팀이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의 1차년도 결과를 발표했다.

윤 교수팀에 따르면 코로나19와 같이 완벽한 예방이 불가능한 감염 재난 상황에서 슬기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최적의 선택은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과 지속 가능한 대응 시스템을 미리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재난에 민감한 상황인식, 효과적인 예방‧처방적 대응 매뉴얼 확립, 지연 없이 민첩하게 대응할 실행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윤 교수팀은 오는 2024년까지 이어지는 3년간의 연구 중 1차년도 연구에서 감염병 대응 의료시스템의 한계 상황을 분석해 시스템 차원의 인력 대응 전략 부재로 환자(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핵심 업무(진단과 치료 등)가 단절되는 현상에 주목했다.

이들은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보건소 등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의료시스템의 ‘업무연속성’이 단절되는 상황에서 회복력 있는 대응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보건의료기관의 ‘업무연속성계획(이하 BCP)’의 바람직한 수립 방향을 도출했다.

그 결과, 보건의료기관의 절반 이상이 의료인력 감염에 대비하기 위한 BCP를 수립하고 있지만, 실제로 재난 상황 적용에는 장애요인이 많음을 밝혀냈다.

현재 의료기관의 BCP에서는 의료인력 감염으로 업무 연속성이 저해되는 상황 발생 시 ‘의료인력의 격리기간 축소’를 주요 계획으로 설정하는 등 지속 불가능한 미봉책이나 위기를 증폭할 수 있는 실수를 계획에 담고 있었다.

실제로 50개 의료기관과 1,015명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기관의 약 68.0%가 BCP 실행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의료인력 감염 시 업무를 중단하거나 축소하는 경우는 약 14.2%에 불과했고, 대다수 의료기관은 신규인력(41.0%) 또는 파견인력(6.0%)을 활용해 업무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윤 교수팀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을 위해 투입된 파견 의료인력이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81.0%)’는 의견이 대다수로, 그 결과 의료종사자의 업무가 가중돼 평균 초과 근무시간은 약 2.6시간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약 70.0%가 번아웃 상태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윤 교수팀은 텍스트 감염병 팬데믹에 대한 대응 시스템 설계를 위한 중요 요인으로 대응 인력을 양성(확보)할 것을 주장했다.

한편,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은 코로나19로 제기된 의료현장의 인력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융복합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현장 감염병 관리 및 안정성 고도화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