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상지대학교 (총장 유만희)는 지난 9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2024 콘텐츠원캠퍼스 구축운영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선정된 사업은 ‘생성형 인공지능(AI)기반 원스톱 교육프로젝트 <뉴노멀 횡성회다지소리>’(연구책임: 신종천 문화콘텐츠학과 교수)이며, 상지대 문화콘텐츠학과 모든 교수진(홍성태, 김민우, 최보연)이 사업 핵심 인력으로 참여한다.
상지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생성형 AI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아이디어 구상 및 기획부터 이미지와 사운드 생성, 영상편집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원스톱 교육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강원지역 대표적인 무형유산인 ‘횡성회다지소리(강원도 무형문화재 제4호)’를 원천소스로 삼아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작한 미디어아트 결합형 융복합 공연프로젝트를 최종결과물로 선보일 계획이다.
지역 내 다양한 기술인프라와 문화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이 사업에는 상지대학교와 함께 강원특별자치도 콘텐츠산업 거점기관인 강원문화재단, XR·AR·인공지능 기반 융복합 공연콘텐츠 전문기업인 ㈜앰버린이 참여한다. 또한 횡성회다지소리문화체험관(강원아카이브사회적협동조합), 춘천시공연예술창업지원센터(춘천문화재단)가 협력기관으로 교육과정 운영 및 미디어아트 결합형 공연창작 프로젝트 개발에 함께 협업한다. 상지대를 구심점으로 이들 참여, 협력기관들은 강원지역 내 공연영상 콘텐츠 거버넌스 구축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의 총괄책임을 맡은 신종천 교수는 “이번 콘텐츠원캠퍼스 구축운영 지원사업을 통해 콘텐츠의 기획부터 제작과 편집까지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체계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상지대 문화콘텐츠학과를 인공지능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명문 학과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소감을 밝혔다. 또한 문화콘텐츠학과장 최보연 교수는 “이번 사업의 또 다른 중요한 의의를 강원도의 소중한 무형유산인 ‘횡성회다지소리’에 대한 젊은 세대의 새로운 관심을 소기함으로써, 인공지능 시대 우리가 고민해야 할 ‘사람과 기술의 결합’, ‘삶과 죽음의 연결’에 대한 성찰적 관점이 공연영상 융복합프로젝트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