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협업 통합플랫폼 ‘KONG.U’ 구축… 산학협력 성과 체계적 관리
산학공동기술과제 통해 자립화 모델 개발… 수익기반 기업가치 창출
산-관-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위한 지역혁신비전협업거버넌스 구성

2023 LINC YIUM 사업 성과전시회 ‘NEW ERA NEW YOU’에 참석한 주요 내외빈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경민대 제공)
2023 LINC YIUM 사업 성과전시회 ‘NEW ERA NEW YOU’에 참석한 주요 내외빈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경민대 제공)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경민대학교(총장 홍지연)는 ‘교육은 제2의 독립운동’이라는 설립이념 아래 2023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산학연협력 LINC 3.0 사업,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HiVE),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2.0)에 선정, 경기 북부 최초로 교육부 재정지원사업 4관왕의 위엄을 달성하며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해당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역 지자체인 의정부시와 연계한 관학협력청년일자리플랫폼 사업(CO-LINK), 의정부 베이비부머 행복캠퍼스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지역 유관기관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대표 명문사학으로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더불어 LINC 3.0 사업 3년차를 맞은 경민대는 산학협력 선도 모델 YIUM 2028의 사업 목표인 ‘지속가능한 상생발전모델 고도화’ 달성을 위해 핵심전략으로 공유협업 플랫폼 활성화(Y: Yield), 산학일체형 실무인재 양성(I: Integrity), 수익기반 기업가치창출(U: Unfold), 지속가능한 산학연 체제 구축(M: Management)을 설정했다. 이같이 경민대는 다양한 추진과제 수행을 통해 미래산업 동력을 키우는 것과 동시에 창의적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서도 힘쓰고 있다.

■ ‘NEW ERA NEW YOU’ LINC 3.0 성과 전시회 개최…우수사업 성과 홍보·확산 = 경민대는 2019년 LINC+ 사업 신규 기관 선정 이후 산학연협력 기반 산학협력 친화형 사업수행 능력을 통해 인력양성, 기업가치 창출, 공유협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지난 30주년에 대한 감사의 마음과 새로운 30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2023 LINC YIUM 사업 성과전시회 ‘NEW ERA NEW YOU’를 열고, 지역혁신주체와 대학이 함께하는 지산학 상호협력 관계 실현을 위한 성과공유 확산의 하나로 ICC 특화분야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성과물을 소개했다.

이외에도 경민대는 공용장비 활용, 산업체 재직자 교육, 가족회사 유료 멤버십, 기업 애로기술 지도,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 창업동아리 경진대회, 지역 유관기관과 우수 협약산업체가 함께한 JOB Fair 등 다양한 성과 홍보를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교내외 협업 조직 성과공유·교류 강화를 통해 타 대학 ICC 및 기관, 지역혁신 주체와의 공유·협업 체계를 확립하고 향후 RISE 사업과 연계한 LINC 3.0 사업의 연속성 확보에도 노력하고 있다.

■ 공유·협업 통합플랫폼 ‘KONG.U’ 구축…산학연 협력 원스톱 정보 공유체계 활성화 = 경민대는 산학연 연계활동을 4개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관련 제도·운영체계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Web기반 ‘KONG.U시스템’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산업체의 접근성 확보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창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경민대만의 공유·협업 통합시스템이다.

카테고리별 세부 관리영역은 △K(Kyungmin Manpower) - 산학연계 교육 운영, 공유·협업 등 인력양성 활동관리 △O(Outcomes) - 기업지원제도, ICC연계 활동, 가족회사 관리 등 기업가치창출 운영관리 △N(Nexus) - 교육환경·공용장비 등 물적 인프라 관리, 교원·산업체 전문인력풀 관리 등 인프라 운영관리 △G(Gear-up) - 창업교육지원, 예비창업·사업화 지원 등 창업지원관리 △U(Uprate) - 산학협력 마일리지, 산학연연계 성과지표, 수익화 등 통합성과 창출 및 관리 등 성과관리다.

또한 경민대는 공유·협업 활동 운영 활성화와 관리 효율성 증진을 위한 제도 및 시스템을 점검하고 산학연대응협력단 운영 및 전문인력 배치로 대내외적 산학연 협력을 강화했으며, 산업체 연계 기업협업센터(ICC)를 통해 지역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신산업 가치 창출을 지원하고 있다. 산학협력 마일리지제도 및 가족회사 유료 멤버십 제도도 시행해 산학연 협력 기반 가치 창출에 힘쓰고 있으며, 지속적인 대학 주요 성과지표 통합 관리·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사업 운영관리에도 활용하고 있다.

■ 수익기반 기업 가치창출 고도화 위한 수익화 자립화 모델 개발 = 경민대는 산학공동기술과제를 통해 수익화 자립화 모델 개발에도 박차를 가했다. 이를 위해 대학과 지역 산업체·유관기관 간 유기적 협력 강화와 수익기반 가치 창출을 위해 로컬푸드를 활용한 만두 패키지 상품을 개발했으며 여드름전용 화장품 키트 개발, 쇼파 가구디자인 개발, 소셜미디어 활용을 위한 맞춤형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공간 사용성 평가·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등 ICC특화 분야와 연계한 5개 협약산업체와 산학공동기술과제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기술이전 5건, 사업화 2건, 디자인 출원 2건, 공용장비 활용을 통한 27개 산업체의 공용장비 유료화 실적 37건, 기업연계 재직자교육 운영을 통한 227개 산업체 904명이 재직자교육 이수 등 산학연 연계 가치창출·수익화를 위한 자립화 모델 기반을 마련했다.

■ 학사관리제도 운영, 취·창업 역량강화 지원 = 경민대는 신학일체형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체 수요분석을 통해 미래교육에 대응하고 시공간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유연한 학사제도 운영을 위한 혁신적인 SMART 교육방식과 ALOUD 학사제도 적용, 산학연연계 교육과정의 Micro Degree 모델을 구현한 혁신적인 교육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타 전공 학생들이 융합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등 이수체계를 유지하면서도 교육품질과 교육몰입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해 학습 효과성을 확보하고 미래교육 전환 기반을 위한 차별화된 교수학습 방법도 적용하고 있다.

더불어 학생지원 SERVE 체계 기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진로설계(SPEC)/취업지원(TRUM) 기반 단계별 원스톱 통합지원체계 운영, 창업지원을 위한 FUND 모델, 글로벌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 취업 가능 산업체 확보·체계적 관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학생 취업희망 산업체 DB를 기반으로 가족회사를 발굴·관리할 수 있는 웰매칭취업연계 산학협력 활동으로 일원화해 산학일체형 인재교육을 활성화하고 있다.

사업 성과전시회 ‘NEW ERA NEW YOU’에 참석한 주요 내빈들이 사업 성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경민대 제공)

■ 4차 산업 기반 학생중심 AI 시스템 모델 확립…스마트 캠퍼스 인프라 구축 효과 향상 = 경민대는 미래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대응을 위해 인적 인프라뿐만 아니라 4차 산업 기반의 학생중심 AI 시스템 모델을 확립하고, 고도화를 통해 스마트 캠퍼스 인프라 구축 효과를 향상했다. 또한 학생성공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해 학생 개인 맞춤형 피드백 활용 기능을 강화하고, 교육성과 지수 구축 등으로 인한 역량별 성과지표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인공지능 학습 결과도 체계화해 부서별 프로그램 활용이 가능하고 학생 맞춤형 역량 해석과 진단을 가능할 수 있게 개편, 부서별 운영체계 확립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경민대는 K1 웰매칭시스템과 M1 학생역량성과관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학생성공 통합지원체계를 완성하고 혁신지원사업의 다양한 취업 성공과 학습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기대하고 있다.

■ 산-관-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위한 지역혁신비전협업거버넌스 구성 = 경민대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는 산관학연 공유·협업 활성화를 위해 의정부시 시의회 의원과 지역유관기관 기관장, 산업체 임직원 등이 포함된 지역혁신비전협업거버넌스를 구성하고, 대학 ICC 및 지자체와의 지속적인 간담회·워크숍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강화해왔다. 이를 통해 LINC 사업과 연계해 지속적으로 수행하던 지자체 핵심 산업 기반 공유·협업 사업을 확장, 향후 시행될 RISE 체계에서 지역혁신 주체와 대학이 지역 발전과 연계해 지역혁신, 산학협력, 직업평생교육에 중점을 둔 지역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취·창업 정주 인력양성을 강화했다. 또한 지역 현안문제를 해결하고 성과 창출·확산에 기여하는 지역 발전을 위한 싱크탱크 및 지역혁신의 허브로서의 대학의 역할 및 위상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사말] 홍지연 총장 “산학협력 선도모델 구현을 넘어…지속가능한 상생 발전 모델 고도화”

홍지연 경민대 총장
홍지연 경민대 총장

“LINC 3.0 사업은 경민대에서 ‘YIUM(이음) 2028’로 불린다. 이는 경민대가 산-관-학-연 간 세밀하게 ‘이어나가야 한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3+3 체제로 계획한 LINC 3.0 사업이 RISE사업 출발과 함께 어떻게 재해석될지 모호한 가운데에서도 산관학연 간을 ‘제대로’ ‘지속가능하게’ ‘잇기’ 위해 최선을 다해온 사업이다.

특히 2023년에는 공유 협업 통합플랫폼인 ‘KONG.U’ 구축을 기초로 메타플랫폼 NANUM 시스템을 개발했고, 이를 통해 유사 ICC 간 가치창출을 확장시키기 위해 총력을 다했다. LINC 사업 참여학과 전체 25개 학과는 특성화 분야를 스마트시티 SaDaLi 분야로 조정했고, 산학협력 선도모델 구현을 넘어 보다 지속가능한 산-관-학-연 간 상생 발전 모델을 고도화 시키는데 전념한 것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남아있는 기간까지 ‘YIUM 2028’ 사업은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부단히 노력해 전문대학의 미래산업 인재 양성이라는 미션을 달성하고, 미래산업 동력을 키우는 경민대로서 손색이 없도록 모든 구성원이 합심해 매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LINC 3.0 사업을 열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참여 대학들과의 성과 확산과 공유 협업을 통해 서로 상생하는 LINC 3.0 사업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