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 8.94대 1…10년 중 가장 높은 경쟁률 기록
‘교육중심 우수대학’ 14년 연속 1위, 올해 ‘교육·혁신대학평가’ 6위 차지
뛰어난 교육 여건·높은 취업률 토대로 현장실무 능력 갖춘 인재 양성
2025학년도 정시모집 150명 선발…공학계열·사회계열 통합모집 선발
[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충남 천안의 한국기술교육대학교(총장 유길상·KOREATECH)는 2025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736명 모집에 총 6578명이 지원해 8.9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는 전년도 7.93대 1의 경쟁률보다 1.01 높아진 것으로 지방권 대학으로서는 큰 폭의 상승세라고 볼 수 있다.
한기대의 수시모집 경쟁률은 2022학년도 6.18대 1에서 2023학년도 6.34대 1, 2024학년도 7.93대 1, 2025학년도 8.94대 1 등 학령인구 감소와 수험생 수도권 쏠림 현상에도 불구하고 매년 상승곡선을 타고 있다. 이번 수시경쟁률은 최근 10년간 경쟁률로는 최고 성적이다. 이는 고용노동부가 출연한 전국거점 국책대학이라는 특수성과 더불어 최상위권 취업률과 풍부한 학생 복지, 차별화된 교육모델, 다담미래학습관 등 최첨단 공학교육 우수시설 등 다양한 특성이 수험생들에게 어필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14년 연속 ‘교육중심 우수대학’ 1위…2022년 취업률 80.3%, 전국 4년제 대학 중 2위 = 한기대는 국내 대학 중 ‘교육 여건’이 우수하고 ‘학생 교육’도 가장 잘하는 대학으로 평가받는다.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2009년~2022년까지 14년 연속 ‘교육중심 우수대학’ 1위를 차지했으며 2023년에는 ‘학생교육 우수대학’에서 1위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는 중앙일보 2024 대학평가 ‘교육·혁신대학평가’ 부문에서 58개 대학 중 6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거뒀다. 특히 교육비 부분에서 수도권 대학(평균 1873만 원)과 비교해 2배가 넘는 4376만 원을 기록해 높은 평을 받았다.
‘교육·혁신대학평가’ 는 올해 신설된 평가부문으로 장학금, 교육비, 외부경력 교원 비율, 취업률, 창업교육비율, 현장실습 참여학생 비율 등 27개 세부 지표를 기준으로 △교육여건 △학생성과 △SDGs(지속가능 개발 목표) 등 3개의 부문의 성과를 측정하는 평가다. 한기대는 성균관대, 한양대(서울), 연세대(서울), 서울대, 고려대(서울)에 이어 6위를 차지함으로써 명성 있는 수도권 대학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평가의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등록금 대비 교육비·기숙사 수용률·창업교육비율·현장실습 참여학생비율 1위, 등록금 대비 장학금·외부경력 교원비율 2위, 순수취업률 4위 등을 기록했다.
‘취업률’은 한기대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볼 수 있다. 2010년부터 매년 최상위권 취업률을 유지해 왔으며 2022년 말 기준 교육부 발표에서 취업률 80.3%로 전국 4년제 대학 2위를 기록했다. 대기업과 공공기관 및 공기업, 중견기업 취업률은 56%에 이른다.
■ 다양한 장학 혜택 제공…에듀테크 기반 미래 학습공간 ‘다담미래학습관’ 운영 = 한기대는 학생 복지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등록금은 인문계열은 학기당 166만 원, 공학계열은 238만 원에 불과하다. 장학금 혜택도 다양하다. 70여 개 종류의 풍부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은 80.7%다. 방학을 제외한 학기 중에는 전교생이 ‘천원의 아침식사’를 제공받는다.
한기대가 운영 중인 ‘다담미래학습관’은 최첨단 실험실습 및 연구 시설을 갖춘 ‘에듀테크 기반 미래 첨단기술 학습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다담미래학습관에는 인공지능,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미래형 모빌리티, 지능형 로봇, 2차전지, 수소연료전지 등 10개가 넘는 Lab이 가동 중이다. 첨단기술과 에듀테크를 활용한 신교수법이 결합된 이곳에서 모든 학부생들은 수업을 들으며 미래 신기술 분야에 대한 융합적 문제해결 역량을 키우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기대는 이론과 실험·실습 5:5 비율의 커리큘럼으로 현장 문제해결 역량과 전공실무 능력을 크게 함양해 기업체에서 ‘경력직 같은 신입사원’이란 평을 받는다. 또한 2012년부터 운영 중인 한국형 코업(Co-op. 산학협동교육)인 IPP(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는 한기대가 자랑하는 ‘실무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 매년 400명이 넘는 3~4학년 학생들이 국내외 대·중견기업과 공공기관에서 4~6개월간 IPP에 참여해 전공실무 능력 및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3~4학년 재학생 대비 장기현장실습 참여 학생 비율은 국내 대학 중 가장 높다. IPP 참여 학생의 취업률은 미참여 학생보다 6.4%P 높은 84.5%의 취업률(대학정보공시 기준)을 기록해 대학 취업률 향상을 견인하고 있다. 2023년 기준 IPP 참여학생들은 월 평균 222만 원의 실습 기관 실습지원비와 대학 장학금 혜택을 받는다.
[우리 대학 이렇게 뽑는다] 정시모집으로 공학계열 120명, 인문사회계열 30명 등 150명 선발
한기대는 2025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총 150명을 모집한다. 공학계열은 가군에서 별도의 학과 구분 없이 공학계열 통합으로 120명을,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나군에서 학과 구분 없이 사회계열 통합으로 30명을 선발한다.
작년과 달라진 점은 2024학년도까지 개별 모집단위로 선발했던 산업경영학부와 고용서비스정책학과를 나군에서 사회계열로 통합 모집한다는 것이다. 공학계열은 2024학년도 마찬가지로 통합모집(가군)으로 진행된다.
공학계열 통합모집(가군) 및 사회계열 통합모집(나군) 입학생은 입학 전 계열 내 희망학부를 인원 제한 없이 자유롭게 선택한 후 2학년 진급 시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2학년 진급 전까지 개인의 적성에 맞는 전공과 진로 탐색을 할 충분한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디자인·건축공학부 및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는 전공까지 선택할 수 있다.
반영 방법은 수능 100%로 수능 4개 영역의 백분위를 반영 비율에 따라 계산해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로 평가한다. 공학계열은 국어 20%, 수학 35%, 영어 20%, 과학탐구 1개 과목에서 25%를 반영하며, 인문사회계열은 국어 35%, 수학 20%, 영어 20%, 사회·과학·직업탐구 중 1개 과목에서 25%를 반영한다. 국어, 수학, 탐구는 백분위 성적을 반영하고, 영어영역의 성적은 취득한 등급에 따라 1등급은 20점, 2등급은 19.5점, 3등급은 19점, 4등급은 18점으로 환산점을 부여하며, 5등급부터는 등급별로 2점씩 차감해 9등급은 8점으로 환산된다.
이번 정시모집 원서접수는 2024년 12월 31일(화) 오전 9시부터 내년 1월 3일(토) 오후 7시까지 인터넷(유웨이어플라이)으로 진행된다.
■ 입학 홈페이지: www.koreatech.ac.kr/ipsi/
■ 입학 상담 및 문의: 041-56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