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회 앞 ‘AI디지털교과서의 교육자료 법안 공포 요구와 정부의 거부권 남용 규탄’ 공동 기자회견 진행
“막대한 예산 들어가는 AI디지털 교과서 강제 도입…지방교육재정에 심각한 부담 초래해 학생들 피해볼 것”
“교실에서 필요한 것은 차가운 기계가 아닌 사람과 사람의 따뜻한 만남…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과정 중요”

교원 단체들은 17일 국회 앞에서 ‘AI디지털교과서의 교육자료 법안 공포 요구와 정부의 거부권 남용 규탄’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원 단체들은 17일 국회 앞에서 ‘AI디지털교과서의 교육자료 법안 공포 요구와 정부의 거부권 남용 규탄’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17일 국회 앞에서 교원 단체들은(교사노동조합연맹,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실천교육교사모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좋은교사운동 등 5개) ‘AI디지털교과서의 교육자료 법안 공포 요구와 정부의 거부권 남용 규탄’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들 단체는 정부의 AI디지털교과서 추진 방침에 대해 “스마트폰 과도한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AI디지털교과서를 강제하고, 예산 문제로 교사 정원은 감축하면서 AI디지털교과서를 추진하는 사업에는 4조 7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상황을 이해할 수 없다”며 “교육부가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개발사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비판했다.

박영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은 “학교의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지위를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교육적 검증을 거치지 않고 밀어붙이는 대국민 사기극이 교육계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AI디지털 교과서 강제 도입은 지방교육재정에 심각한 부담을 초래해 피해는 결국 학생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박 위원장은 “에듀테크 자본의 이익을 대변하는 교육부는 절대다수 교사와 학부모들이 강제 도입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듣고 AI교과서 교육자료화 법안을 즉각 공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그는 “거부권을 행사하면 학교현장교사들이 시민의 힘으로 윤석열을 체포한 것처럼 이주호 교육부 장관을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주 서울 OO초등학교 교사는 “교사가 학생들이 디지털교과서 공부를 얼마나 했는지 검사하는 보조자 역할에 머무르는데, AI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면 학생들의 사고력이 발달할 수 있다는 주장이 허황했다는 것을 학생들이 어떤 질문을 할지 예상하고 있는지 검증해 보면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교사는 “교사는 학생들과 얼굴을 맞대고 상호작용하며 자기 손으로 직접 만지고 해보는 수업을 만들어 가야 한다”며 “학교에서 진정으로 필요한 것을 차가운 기계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의 따뜻한 만남”이라고 강조했다.

한성중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는 “AI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교사들이 기술적으로 크게 실망했고 돈을 주고 구독하는 것에 대해 의문이 있으며,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에게는 국가 차원에서 우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이어 “AI디지털교과서 개발 과정 자체가 지금까지 계속 혼란스럽게 만들었고, 거부권을 남용하는 것이 현장을 더 혼란하게 만든다”며 “학생의 배움을 개발사의 이익과 저울질하지 말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보미 교사노조연맹 위원장과 천경화 실천교사모임 회장은 “학부모와 교사가 반대하는 AI디지털교과서 도입을 강행하는 교육부를 규탄하고, 학교에 필요한 것은 AI디지털교과서가 아니라 교사”라고 밝혔다. 이들은 “학교 상황을 반영하지 않은 교사 감축으로 교원 여건은 해마다 악화됐다고 진단하고, AI디지털교과서 개발사 이익만 생각하며 사업을 강행하면 AI디지털교과서를 학교 현장에 도입하는 것이 더 큰 예산 낭비가 될 것”이라면서 “개발사의 이익을 보전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AI디지털교과서를 강요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교원 단체들은 17일 국회 앞에서 ‘AI디지털교과서의 교육자료 법안 공포 요구와 정부의 거부권 남용 규탄’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원 단체들은 17일 국회 앞에서 ‘AI디지털교과서의 교육자료 법안 공포 요구와 정부의 거부권 남용 규탄’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