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이주민 위한 이주노동자 정책’ 국회 토론회 열려
이주민 언어교육·직무역량 강화에 ‘지역대학 연계’ 필요
“정부 차원 통합·전략적인 이주노동자 정책 필요한 때”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어교육과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지역과 대학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나온다. (사진=아이클릭아트)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어교육과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지역과 대학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나온다. (사진=아이클릭아트)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인구감소, 지방소멸 시대 외국인력 확보를 위해 교육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범부처가 연계 협력해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된다. 특히 이주민의 언어교육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을 지역대학과 연계해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혁진 민주연구원 부원장은 지난 1월 국회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100만 돌파, 지방자치단체의 희망인가?: 지자체·이주민 win-win을 위한 이주노동자 정책’ 토론회에서 지역 차원에서 전문직 이주노동자를 위한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혁진 부원장은 “지역산업단지 인근 지역대학과 연계해 전문직 이주노동자 관련 지원체계를 구축할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지역대학에서 전문직 이주노동자들의 상시적인 언어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인구절벽으로 생존 위기에 놓인 지역대학이 전문직 이주노동자 훈련 프로그램 운영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최 부원장은 “지역대학, 지자체가 협력하면 효과적인 이주노동자 지원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주노동자 유입 증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정부 차원에서 통합적이고 전략적인 접근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직무역량이 갖춰진 외국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범부처 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강정향 한국고용복지연금연구원 외국인정책연구센터장은 토론회 주제발표 ‘경제활동인구 확충을 위한 이주노동자 정책 방향’에서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 강정향 센터장은 “기업은 현장에 바로 투입할 역량을 갖춘 외국인력이 필요하다. 일상생활이 가능한 한국어 능력과 직무 목적 한국어 능력, 직무역량이 갖춰지지 않은 외국인력은 기업의 생산성을 저해한다”며 “대학-기업 간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부, 중소기업벤처부 등 여러 부처가 협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근 이주노동자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 수도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들을 미래 생산인력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교육계 노력도 이어진다. 전문가들이 외국인력의 지역 정주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며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한 ‘유학생 유치-교육-취업-정주’로 이뤄지는 지역 정주형 유학이 더욱 주목받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