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제조·시스템 분야 등 항공 분야 고숙련전문기술인재 양성 ‘앞장’
마이스터대 교육과정 ‘수직적 연계성’ 유지, ‘직무중심 교육 환경’ 구축 힘써
역량 강화 위한 해외연수 프로그램 다수 진행…전문 지식 습득, 동기부여↑

지난해 7월 7일부터 13일까지 미국 시애틀에서 진행된 ‘2024년 동원과기대 마이스터대사업 전문기술석사교육과정 항공메카트로닉스 전문석사기술과정 해외 연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동원과기대)
지난해 7월 7일부터 13일까지 미국 시애틀에서 진행된 ‘2024년 동원과기대 마이스터대사업 전문기술석사교육과정 항공메카트로닉스 전문석사기술과정 해외 연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동원과기대)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동원과학기술대학교(총장 장인성) 전문기술석사과정은 전공별 특성에 맞춰 교육과정·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동원과기대 항공메카트로닉스 전공은 항공기 제작 관련 고급 기술과 항공기 부품별 역할 이해를 통해 항공기 제조와 시스템 분야 인재역량 개발을 목적으로 △항공부품 역설계 △AI모빌리티 △자동화시스템 △최적화설계가공 등 4개 프로젝트 중심 Matrix Lab 연계 교육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산업체 애로기술해결과 석사과정생들이 관련 실무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현장학습을 운영했다.

산학공동 프로젝트 중심 MATRIX Lab (4개 랩 협업체계) 구축·운영 표. (사진=동원과기대)
산학공동 프로젝트 중심 MATRIX Lab (4개 랩 협업체계) 구축·운영 표. (사진=동원과기대)
매트릭스 랩 연계 공동기술개발 과제를 통한 현장학습 (On-the-Job-Learning) 수행 사진. (사진=동원과기대)
매트릭스 랩 연계 공동기술개발 과제를 통한 현장학습 (On-the-Job-Learning) 수행 사진. (사진=동원과기대)

동원과기대는 단기직무-전문학사-전공심화-전문기술석사의 수직적 연계성을 유지하며 마이스터대 과정별로 교육과정을 개발(개편)했다. 항공메카트로닉스 전공은 전문학사과정에서 ‘항공정비역량’을, 전공심화과정에서 ‘항공기 설계·제작 역량’을, 전문기술석사과정에서 ‘항공기생산 자동화·시스템 분야 역량’을, 단기직무 과정에서 항공분야 비정비 관련 재직자와 항공분야 종사를 희망하는 교육생 대상으로 ‘항공기 정비 분야 역량’ 개발을 지원한다. 또 단기직무과정 이수 후 전공심화과정, 전문기술석사과정 진학과 연계한 항공기 제조·시스템 분야 고숙련 기술 인력 양성이 가능한 수직적 교육과정을 개발했다.

과정별 연계성과 교육과정 체계도. (사진=동원과기대)
과정별 연계성과 교육과정 체계도. (사진=동원과기대)

또 직무 중심 교육을 위해 산업현장을 반영한 교육 환경, 실습 기기·장비를 구축하고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고도화했다. 강의실, 실험·실습실, 세미나실 등 필수 공통 시설과 전문기술석사과정 학습자를 위한 전담 학습 지원 공간을 확보하는 등 직무 중심의 고등직업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 환경과 시설을 구축했다.

특히 석사과정 교육과정에서 직무별 교육과정과 연계된 실습실과 기자재를 구축함으로써 교육 만족도 향상과 질 관리를 가능하게 했다.

산업체 직무별 교육과정 연계 교육환경 구축 표. (사진=동원과기대)
산업체 직무별 교육과정 연계 교육환경 구축 표. (사진=동원과기대)

이와 함께 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미국 시애틀은 세계 최대 항공기 업체인 보잉이 창업된 지역으로 시애틀의 에버렛 지역은 보잉공장과 항공 관련 제조, 연구 기업들이 위치해 있다. 또 워싱턴 주립대학교의 항공우주공학과, 워싱턴주 항공 우주 연합체 등 다양한 기관이 포진돼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고숙련전문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글로벌 역량 강화 △실용·개선 기술 중심 사례 습득을 통한 전문기술석사과정 인사이트 함양과 취업 네트워크 강화 △문화 교류와 국제적 협업을 통한 글로벌 마인드 함양·취업 역량 향상 등을 목표로 진행됐다.

장인성 마이스터대사업단장.
장인성 마이스터대사업단장.

세계 최대 규모의 항공조립 시설 ‘보잉 에버렛 공장’에서 보잉사의 모든 공정과정을 관찰하고 다양한 기술, 장비·생산라인과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다양한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잉의 혁신기술과 내부 시스템을 가상으로 탐험함으로써 항공기 내부 구조와 시스템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탐구했다.

워싱턴 항공우주 훈련·연구 센터를 방문해 항공우주 분야의 첨단 교육과 최첨단 시설과 항공기 부품과 조립장비 실습을 진행했다. 균형 있는 이론·실습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항공기 조립, 유지보수, 복합재료 제작 등 다양한 지식을 습득했으며, 항공 우주 기술에 대한 워크숍과 세미나를 통해 동기부여했다.

또 바숀 에어크래프트를 방문해 경항공기 제작공정과정과 테스트 비행, 감항인증 등 지식을 학습했고 윙 조립과정 중 스파와 스킨, 연료탱크 장착·실링 후 압력 누설 점검 실습을 진행했다. 또 제작 공정 중 엔진과 항법장비를 위한 배선 작업, 조종 케이블 설치 작업 실습이 이뤄졌고, 모든 공정 완료 후 5회의 테스트 비행으로 안정성 검사와 감항인증 절차를 습득했다.

일렉트로임팩트 방문 연수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 중심의 동일 엔지니어가 한 프로젝트의 초기 계획·개발부터 최종 조립, 툴링 설정, 유지보수까지의 책임감과 전문성에 대한 지식을 학습했다. 이와 함께 세계 최고의 CNC 가공 장비·항공기 치공구 제작과정에 대한 지식을 습득했으며 카본 파이버 로봇머신·사용자 교육을 실시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