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위, ‘다자녀 특별전형’ 운영 실태 설문조사 실시
주형환 부위원장 “다자녀 특별전형 확대 동참” 요청
2027학년도 고른기회전형 지원 대상에 명시 방안 추진

한국장학재단은 저소득층에 대한 국가장학금 지원 강화와 다자녀 가정의 등록금 부담 경감을 위해 다자녀 국가장학금 혜택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사진=한국장학재단 제공]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다자녀 특별전형' 확대를 위해 대학들에 동참을 요청했다. (사진=한국장학재단)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앞으로 자녀가 셋 이상인 가정에서 자란 학생이면 대학 진학이 쉬워질 예정이다. 정부가 그동안 일부 대학에서만 운영되던 ‘다자녀 특별전형’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기 때문이다. 저출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입시 경쟁’ 부담을 줄임으로써 사회적 문제까지 해결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28일 본지에서 취재한 바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출산위)는 국내의 전체 대학을 대상으로 ‘다자녀 특별전형’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사실상 다자녀 특별전형을 확대에 동참을 요구한 것이다.

2025학년도 입시 기준 ‘다자녀 특별전형’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중앙대를 비롯한 51개 대학이다. 이들은 ‘고른기회전형’을 통해 다자녀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고른기회전형’은 고등교육법에 따라 저소득층, 농어촌 출신, 장애인, 탈북민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들을 별도로 뽑는 전형이다. 대학마다 전체 모집 인원의 10% 이상을 뽑아야 한다.

이 같은 추세에 따라 기존에 다자녀 특별전형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도 전형을 손보고 있는 모양새다. 디지스트(D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2026학년도 입시에서 ‘고른기회전형’에 지원할 수 있는 다자녀 조건 중 ‘소득 8분위 이하’ 기준을 없애기로 했으며, 경희대는 다자녀 기준을 ‘네 명 이상’에서 2026학년도부터는 ‘세 명 이상’으로 완화할 예정이다.

경희대 관계자는 “경희대의 경우 ‘다자녀 특별전형’을 이미 15년째 운영하고 있다”며 “학령인구 감소 등 사회적 변화에 발맞춰 다자녀 기준을 완화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저출산위는 대학들의 이런 움직임을 더욱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주형환 저출산위 부위원장은 지난달 전국 4년제 대학 총장 모임에 참석해 “대학들은 교육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은 다자녀 가정 자녀의 고등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다자녀 특별전형’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저출산위는 ‘2027학년도 대입전형 기본사항’에서 고른기회전형 지원 자격 대상에 ‘다자녀 가정 자녀’를 명시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