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백기’에도 학생들 반응은 싸늘
연세대, ‘제적’ 예정통보서 발송 예정
조건부 방침에 반발…尹 리스크 우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진행된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발표’ 브리핑에서 3월까지 의대생 전원이 복귀한다는 조건으로 의대 총장‧학장들이 건의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을 수용하기도 했다고 전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진행된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발표’ 브리핑에서 3월까지 의대생 전원이 복귀한다는 조건으로 의대 총장‧학장들이 건의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을 수용하기도 했다고 전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장들이 3월 말까지 학교로 돌아오도록 학생들에게 호소하고 있는 가운데 몇몇 대학의 경우 학생들이 미등록 휴학을 할 경우 학칙에 따라 ‘제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은 복귀를 전제로 한 조건부 정원 동결에 불신을 내비치며 꼼수 수강신청 등으로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모양새다.

11일 대학가에 따르면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 규모로 되돌리는 방안을 발표하는 등 사실상 ‘백기’를 들었지만 학교 복귀에 대한 의대생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이에 지난 10일 전국 의대 학장들은 복귀 호소문을 발표하고 학생회 면담, 개별 학생 지도교수 상담 등을 진행했지만 의대생들의 복귀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가장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곳은 연세대다. 연세대는 등록 후 휴학한 학생의 경우 유급, 미등록 후 휴학을 한 학생의 경우에는 제적 처리를 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복귀 시한인 24일까지도 미등록 휴학을 한 학생에게는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할 계획이다.

최재영 연세대 의대 학장은 “3월 24일 시작하는 특별교육일정을 편성했다. 양질의 의학교육을 지향하는 연세의대의 교육정신을 견지하는 최종적 교육과정 개시 일정”이라며 “3월 24일 이후 추가 복귀가 불가함을 분명히 알린다. 정부와의 협상은 선배에게 맡기고 학교로 돌아오라”고 호소했다.

연세대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대학은 복귀 시한을 24일로 설정하고 학생과 학부모에게 복귀를 호소하고 있다. 정연준 가톨릭대 의대 학장은 전날 ‘가톨릭 의과대학 학생에게 보내는 글’을 통해 “휴학계 제출 이후 2026년 모집 정원 동결이라는 중대한 변화가 있었으므로 교육부 발표 이전에 제출한 휴학계를 그 상태대로 승인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휴학계를 제출한 학생들은 3월 24일까지 지도교수와 면담해 휴학 여부를 다시 결정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윤웅 전남대 의대 학장도 같은 날 ‘전남대 의과대학 학생과 학부모님께 드리는 글’을 보내며 “지금이 학생들이 학업에 복귀해야 할 시점”이라며 “학생들은 3월 24일 이전에 복귀해야 하며 이후의 추가적인 복귀가 불가함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대다수 의대 학장들은 이와 비슷한 내용의 서신을 의대생과 학부모에게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의대의 경우 직접 의대생 기숙사까지 찾아가거나 학생회 면담,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의대생 복귀를 설득하고 있는 중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각 의대들은 학장, 교수를 동원해 설득에 나서고 있지만 의대생들의 반응은 냉랭하다. 이들이 가장 크게 반감을 가진 부분은 지난 7일 정부가 발표한 ‘3월 말 전원 복귀 시 모집인원 동결’이라는 조건부 방침이다.

휴학계를 제출한 한 의대생은 “지금 의대생 단톡방에서는 정부가 제시한 조건부 정원 동결이란 방침이 언제든지 뒤바뀔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며 “특히,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이 취소되면서 의대 증원 정책을 추진했던 장본인이 재등장해 이를 다시 추진을 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 대학이 3월 말까지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학칙에 따라 조치를 취하겠다고 한 만큼 학생들도 꼼수를 통해 수업 거부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강신청 정정 기간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수업 거부에 동참하고 있는 학생들은 수강 신청했던 전공과목을 수강 철회한 뒤 교양 수업 등 1학점 수업을 정정 신청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가 끝난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금 상황은 뽑아놓은 인원들을 교육할 수 있는 방법도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집인원을 줄여서 하겠다는 상황인데 이것은 일반 전공의들이나 학생들이 느끼기에 ‘그냥 덮어두고 돌아와라’라고 들린다”며 “지난 1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돌아가면 과연 할까라는 의문도 있다”면서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