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 성명 발표
전공의·의대생들의 오만한 태도 강력 비판
박단 “교수 불릴 자격 없는 분들의 위선” 반박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일부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을 비난하고 있는 의대생·전공의들에게 “내가 알던 제자, 후배 맞냐”며 강도 높게 비판한 가운데, 사직 전공의 대표인 박단 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이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분들의 위선 실토이자 자백”이라고 반박하며 첨예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서울의대·병원 소속 하은진 중환자의학과 교수, 오주환 국제보건정책 교수, 한세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강희경 소아청소년과 교수 4명은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 이제는 결정할 때입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이 성명은 전공의 수련 과정을 ‘착취당했다’고 주장하면서도 면허를 갖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태도를 ‘오만하다’고 비판하며, 의대 증원을 위한 해결책 마련도 없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않으며 극단적 대립 상태로 투쟁하고 있는 행태를 지적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특히 교수들은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며 “이런 투쟁 방식에 계속 동조할 것인지, 아니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단 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응급실에서의 응급 처치, 정맥 주사 잡기 등의 술기를)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아 책과 영상을 보며 혼자 공부했고, 동료 전공의에게 물어가며 눈치껏 익혔다”며 “그걸 가르쳐야 할 주체는 당신들이다. 교육을 얼마나 등한시했던 건지, 교수의 역할을 알고는 있는 것인지, 교수의 본분을 다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성 없이 당당하게 이야기하니 당혹스럽기까지 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박 부회장은 “대학 병원의 가장 큰 문제는 노동과 그에 따른 책임이 위계적으로 전가된다는 것”이라며 “전공의가 없는 지금, 교수는 이제 간호사에게 의사의 책무를 떠넘기고 있다. 교수는 이를 바로 잡기는커녕 전공의 부재를 핑계로 신규 간호사를 착취하고 있다. 환자를 볼모로 착취를 정당화하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2026학년도 의대 모집정원을 3058명으로 돌리겠다는 교육부의 발표와 의대를 두고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의대학장들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의대생 복귀에 대한 뚜렷한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전북대, 경북대 등 주요 의과대학이 돌아오지 않으면 제적하겠다고 언급하며 복귀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결정은 의대 교수들 간에도 이견이 충돌하고 있는 모양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이 “압박과 회유를 통해서는 의학교육 정상화가 이뤄질 수 없다”고 나선 것.
17일 전의교협은 ‘의대 학장들께 드리는 글’을 통해 “학생들의 제적 가능성을 거론하는 것은 교육자로서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없다”며 “교수들은 원칙과 상식 내에서 최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대학의 결정에 맡기겠다”며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처분을 대학 자율 결정에 맡긴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의대생 복귀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