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재정 위기 분석을 통한 재정 여건 개선 방안’ 주제
문재성 고등교육재정회계본부장, 대학 자체 수입 다각화 실행과제 제안
김민희 대구대 교수, 문보은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등 토론 참여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교육부와 한국사학진흥재단이 31일 한국사학진흥재단에서 ‘제2차 고등교육재정 혁신 토론회(포럼)’를 열고 대학 재정 수입과 지출 분석 통한 재정 안정화 방안을 모색한다.

고등교육재정 혁신 토론회(포럼)는 중장기 재정지원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대학·지자체·유관기관 등과 협력, 고등교육재정 확충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돼 지난달부터 매월 1회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제2차 토론회는 ‘대학 재정 위기 분석을 통한 재정 여건 개선 방안’을 주제로 문재성 한국사학진흥재단 고등교육재정회계본부장이 발제하고 김민희 대구대 교수, 문보은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등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문재성 본부장은 이날 발제에서 사립대학 현황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정부·지방자치단체 보조금 증가에도 등록금·수강료 수입이 대학 전체 수입의 50% 이상을 차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재정 위기가 지속될 우려가 있음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정부의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대학이 자체 수입을 다각화할 수 있는 실행과제도 제안한다.

토론에서는 ‘대학의 재정 위기가 심화된 원인과 주요 재정 부담요인(김민희 교수)’ ‘대학 재정 위기의 지역별·설립유형별 차이와 주요 요인(문보은 선임연구위원)’ 등이 이뤄진다.

이외에도 이날 토론회에서는 대학의 자체 수익 구조 다각화를 위한 사례로 ‘대학 연계형 은퇴자 공동체 모델(고영호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 ‘지자체와 협력을 통한 협력기금 조성·운영 모델(조지운 울산대 글로컬대학추진단장)’에 대해 논의도 함께 진행된다.

이번 행사는 온라인으로 생중계되며, 고등교육재정에 관심이 있는 국민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