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DI,  ‘대학 자율 성과관리,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브리프 제4호 발간
성과관리 데이터 규정·DB 구축률, 대학 규모·전담조직 유무 따라 격차
“분석에 머물지 말고 환류까지… 객관성 담보 위한 제도 도입도 필요해”

‘대학 자율 성과관리 지원 체제 구축 방안’. 갈무리 (자료=KEDI)
‘대학 자율 성과관리 지원 체제 구축 방안’. 갈무리 (자료=KEDI)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대학 자율 성과관리,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KEDI 브리프」 제4호를 발간했다. 이번 브리프는 정혜주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대학 자율 성과관리 지원 체제 구축 방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연구진은 고등교육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대학이 자체적으로 성과를 관리하는 구조로 전환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동 연구에서는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85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개별 대학의 자율 성과관리 실태와 대학 차원의 개선 과제를 분석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45개교 중 79.3%에 해당하는 115개교가 성과관리 전담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전담조직의 명칭은 ‘IR센터’, ‘교육성과관리센터’, ‘(대학)성과관리센터’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담조직이 없는 경우 ‘기획처’가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성과관리 조직의 평균 인력 규모는 전체 응답 대학 기준 6.11명으로 나타나며, 대학 규모에 따라 성과관리 조직 규모 역시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규직 행정인력 규모에서도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전담조직이 있는 대학에서는 정규직 연구인력이 평균 1.31명으로 전담조직이 없는 대학 평균(0.69명)보다 유의미하게 많았다는 사실이다.

성과관리의 주요 활용 목적 역시 전담조직 유무에 따라 달라졌다. 전담조직이 있는 대학은 성과관리 활용 목적 1순위로 ‘교육성과 및 교육여건 개선’ (27.0%), ‘증거기반경영 실현’(25.2%)의 응답 빈도가 높았다. 반면 전담조직이 없는 경우, ‘대외평가 대응’(33.3%), ‘중장기 발전계획 및 특성화 전략 재정립’(30.0%)의 비율이 높았다.

‘대학 자율 성과관리 지원 체제 구축 방안’. 갈무리 (자료=KEDI)
‘대학 자율 성과관리 지원 체제 구축 방안’. 갈무리 (자료=KEDI)

성과관리 관련 데이터 규정과 인프라 설치 비율 역시 전담조직 유무에 달려 있었다. 전담조직이 있는 대학은 데이터 관련 규정이나 지침을 마련한 경우가 83.5%(96개교)에 달하는 반면, 전담조직이 없는 대학의 경우 63.3%(19개교) 정도만이 관련 규정이나 지침을 마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담조직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는 응답이 77.4%(89개교) 였으나, 전담조직이 없는 경우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성과관리 전담조직의 분석 역량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증거기반 경영을 가능케 하는 핵심”이라며 “대학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총장이나 대학 내 부서 및 기관의 요청에 따라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IR센터의 기능’과 성과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이나 대학 재정지원사업 계획 등을 수정·보완할 수 있는 ‘기획처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 혹은 결합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많은 대학이 자율 성과관리를 여전히 대외평가나 재정지원사업 대응 수단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단순한 자료 수집이나 시각화 수준을 넘어, 체계적 분석과 개선계획 수립으로 이어지는 ‘환류 구조’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자율 성과관리는 대학이 주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과제지만, 동시에 ‘객관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뒤따라야 한다. 모든 대학이 지속가능한 자체 성과관리 체제와 환류 체계를 수립해 체계적 성과관리를 통해 전체 대학 교육의 공적 책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의 관점에서 관련 정책이 수립·추진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키워드

#성과관리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