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원주대와의 통폐합 심의 연기해 28일 개최 예정
글로컬대학 지원금도 반환 ‘위기’… D등급 악몽 떠올라
“절실한 마음으로 이번 통합 준비… 플랜 B는 없어”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강릉원주대와의 통합과 관련해) 교육부로부터 4월 말까지 약간의 시간을 벌었다. 이번에 통합을 하지 못하게 되면 지난 2년간 받은 글로컬대학 지원금까지 반납해야 하기 때문에 대학의 명운을 걸고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
강원대 관계자는 15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밝히며, “이번 주로 예정됐던 강릉원주대와의 통폐합 신청서 심의 일정이 연기됐다”고 말했다. 강원대 측은 대학혁신전략실의 ‘전문성 강화’와 ‘혁신적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기했다고 밝혔지만, 구성원 간 합의할 시간을 갖기 위해 연기한 것으로 추측된다.
앞서 강원대는 지난 1일 내년 3월 ‘강원1도1국립대학’ 출범을 위한 강릉원주대와의 통합안을 두고 학내 최고 심의 기구인 평의원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학과 중복, 조직 구조조정, 캠퍼스 명칭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평의원회 구성원 22명 중 20명이 투표한 결과 12명이 반대표를 던져 부결된 바 있다.
이번 일정을 연기하면서 강원대 측은 “강릉원주대와의 통합과 관련해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위해 4월 14일과 18일 개최 예정이던 교무회의 및 평의원회 개최를 연기하기로 했다”며 “대학혁신전략실의 ‘전문성 강화’ 및 ‘혁신적 운영방안’을 중심으로 통합 강원대의 미래 비전을 보다 구체화한 후 교무회의 및 평의원회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18일로 예정됐던 대학평의원회도 연기됐다. 우흥명 강원대 대학평의원회 의장은 “지난 1일 1차 심의에서 부결된 이후 제출된 수정안 역시 관련 직능단체와 구성원들에게 충분히 설명할 시간이 부족해 자칫 ‘졸속 수정안’이라는 우려가 제기될 가능성이 있었다”며 “이번 일정 조정으로 해당 우려를 해소하고, 구성원 간 보다 충분한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당초 강원대가 교육부에 통폐합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는 기한은 오는 20일까지였다. 그러나 강원대 측이 구성원 설득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교육부로부터 4월 말까지 기한을 연장받았다. 이에 따라 강원대 측은 대학평의원회를 잠정적으로 28일에 개최해 통합 논의를 마치고 4월 말까지 교육부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강원대와 강릉원주대의 통합 절차가 마냥 순탄하진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폐합 신청서를 제출하더라도 교육부 통합심의위원회, 글로컬대학심의위원회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심사를 받아야 한다. 또한 대입전형 기본계획에 따르면 4월 말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통합’ 강원대의 모집인원을 제출해야 하는 만큼 기한이 촉박한 상황이다.
만약 강원대와 강릉원주대의 통폐합 신청이 부결될 경우 두 대학은 지난 2년간 글로컬대학 선정으로 지원받은 지원금을 반환해야 한다. 두 대학이 그동안 받은 지원금은 230억 원이 넘어선다. 앞서 교육부는 학내 심의기구의 가결을 거친 통폐합 신청서 제출하지 않으면 글로컬대학 사업 관련 지원금의 50% 이상을 삭감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에 부결된다면 지난 2015년 강원대가 대학구조평가에서 D등급을 받았던 악몽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당시 강원대는 재정지원 제한, 국가장학금 Ⅱ유형 제한, 입학정원 감축 등의 제재를 당하며 굴곡의 시간을 보냈다.
강원대 관계자는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D등급의 악몽을 되풀이할 수 없다”면서 “그만큼 절실한 마음으로 이번 통합을 준비하고 있다. 평의원회를 통과시키는 게 플랜 A고, 플랜 B는 없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