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정부서울청사에서 ‘2026 의과대학 모집인원 조정 방향’ 발표
의료교육계, 의대교육 정상화 통한 의사 양성 시스템 유지 필요
양오봉·이해우 회장 “핵심 요구 사항 수용… 돌아와 학업에 전념하길”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금 의대 교육 정상화의 마지막 기회다. 의료 인력 양성이 더 이상 중단돼서는 안된다”며 의대생 복귀를 재차 호소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금 의대 교육 정상화의 마지막 기회다. 의료 인력 양성이 더 이상 중단돼서는 안된다”며 의대생 복귀를 재차 호소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양오봉·이해우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이하 의총협) 회장단 등 정부와 의료교육계가 “지금 의대 교육 정상화의 마지막 기회다. 의료 인력 양성이 더 이상 중단돼서는 안된다”며 의대생 복귀를 재차 호소했다.

이들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조정 방향’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가 받아들인 ‘3058명 안’에 부합하는 수업 참여도는 ‘전원 복귀’라 판단할 만큼 높지 않다. 교육부 관계자에 따르면, 40개 의대 평균 수업 참여율은 25.9%로, 50% 이상이 4개교, 40%가 3개교, 30%가 7개교 등이다. 수도권과 지역 대학의 격차는 훨씬 크다. 수도권은 평균 40%대를 육박하지만, 증원이 많이 된 지역 대학은 20%대에 불과하다.

다만 정부는 수업 참여를 망설이고 있는 학생들과 학사 일정과 대학 입시 일정을 고려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확정하기로 했다. 이번 발표가 복귀한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하고, 망설이고 있는 학생들이 복귀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 부총리는 “의대 증원은 양질의 교육을 통해 의료인을 제대로 양성할 때에 실현되는 것”이라며 “의대교육을 정상화해 더 이상 의사 양성 시스템이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제는 의대생이 돌아와 학업에 열중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정원 동결에 따른 정책 신뢰감 저하를 불러올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부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3058명으로 동결하지 않을 경우, 지금의 긍정적인 변화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며 “현 시점에서 정부가 가장 집중해야 할 것은 의학교육의 정상화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양오봉 의총협 공동회장은 “의대생들이 그동안 많은 요구를 했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의대 모집인원과 24·25학번 교육 여건 마련 두 가지를 정부에서 수용했다”며 “의대생뿐 아니라 교수, 학장들이 이에 모두 요구했던 사항이기 때문에 의대생 복귀 걸림돌은 모두 제거됐다고 본다. 이제는 학생들이 대학으로 돌아와야 할 때”라고 복귀를 호소했다.

이해우 의총협 공동회장 역시 “대학마다 사정은 다르나 대학 총장 및 학장 등이 나서 학생을 설득하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며 “오늘의 결정이 복귀를 주저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은 “오늘 정부는 2026학년도 모집인원 증원을 확정하는 큰 결단을 했다. 전국 의대를 대표해 깊은 감사의 말을 전한다”며 “하지만 아직 상당수의 학생들이 수업 참여를 주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는 말을 전한다. 학생이 돌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동결 결정에도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 양오봉 회장은 “상담을 통해 의대생들이 4월 이내에는 50% 이상 돌아올 것이라는 공감대 형성됐다”면서 “학생들이 돌아온다면 의대교육에는 문제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