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2025년 뿌리산업 진흥 실행계획’ 확정… 6846억 지원
인력 확보·기업 성장, 기술 혁신·공정 지능화, 산업 생태계 강화 등 전략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정부가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의 성장 동력 강화에 나섰다. 지난해보다 예산을 늘려 뿌리산업의 활력 회복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025년 뿌리산업 진흥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전년 대비 6.9% 늘어난 규모인 6846억 원의 범정부 예산을 올해 투입한다고 28일 밝혔다. 뿌리산업은 다른 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초 산업으로, 주조·금형 등이 포함된다.
이번 실행계획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추진 중인 ‘제3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연차별 이행방안이다. 산업부를 비롯해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특허청 등 관계부처가 협업해 수립했다.
정부는 올해 △인력 확보와 기업 성장 △기술 혁신과 공정 지능화 △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전략을 중심으로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우선 인력 확보 정책으로는 뿌리산업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층(직업계고, 폴리텍대학 등)을 대상으로 하는 우수 뿌리기업 매칭 프로그램을 오는 11월에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뿌리산업 혁신동정 R&D 전문인력(석·박사) 양성, 마이스터대 운영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현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 지정을 새롭게 추진한다. 올해 주조, 금형, 용접 등 교육 역량을 갖춘 조합, 대학을 4곳 지정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에서는 뿌리기업이 취업애로청년 등을 채용 시, 1년간 최대 720만 원을 지원한다. 또 청년이 뿌리산업 등 빈일자리 기업에서 2년 이상 근속할 경우 최대 480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외국인 기술인력 양성대학을 추가로 지정한다. 지난해 12개에서 올해 14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 공모 예정이다. 비자전환 요건도 완화한다. 졸업생이 국내 뿌리기업에 취업할 시, 유학 비자(D-2)에서 숙련기능인력비자(E-7-4)로 비자 전환을 지원한다. 법무부에서는 비전문취업 비자(E-9)를 숙련기능인력비자(E-7-4)로 전환 시 한국어 요건(2급 이상)을 사후에 충족할 수 있도록 개선해 장기근속을 유도한다.
기업 성장 정책의 경우,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뿌리기업들을 위해 성장 단계에 따른 맞춤형 지원정책을 안내한다. 정책자금 우대와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며 공장을 신·증설하고자 하는 기업에는 전문가 입지컨설팅을 제공한다.
기술 혁신 정책으로는 차세대 공통·핵심 뿌리기술 15개를 올해 8개를 시작으로 6년간 개발해 보급한다. 공정 지능화 정책의 경우, 뿌리공정이 지능화될 수 있도록 제조공정 자동화, 지능형 공정전환, 로봇 도입 등 첨단 생산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시흥(공정혁신시뮬레이션), 구미(금형), 성주(열처리) 등에 디지털 전환 기술지원 거점을 구축한다.
지역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각 지역 뿌리산업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대학, 연구기관 등이 협업하는 지역산업 연계, 공용 장비·시설 구축 등 공동해결 과제를 지원한다. 또한, 뿌리기업-수요기업 간 매칭과 제품공정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시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산업부는 “뿌리산업의 혁신성과 성장잠재력을 키울 수 있도록 범정부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뿌리업계가 활력을 회복하고 새로운 글로벌 선도 기업들도 등장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