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025년도 생성 인공지능 선도인재양성 사업’ 공고
챗GPT 이후 실전형 AI인재 필요… 정부, 산업 연계형 교육 본격화
AI기업·대학, 공동연구 과제 발굴 및 석박사생 최소 24명 연구 참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한국대학신문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 초격차 기술을 주도할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 대학(원)과 생성형 AI 선도기관 간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오는 6월 11일까지 ‘2025년도 생성 인공지능 선도인재양성 사업’을 공고하고, 올해 총 35억 원 규모로 3개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생성AI 분야의 전문인력을 산업 현장에 적기 공급하기 위해 2025년 추경 사업으로 추진됐다. 사업에는 생성AI 기업 등이 주관 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해 2개 이상의 국내 대학과 연구팀을 구성하고, 실제 현장의 기술 수요를 반영한 연구 주제로 공동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선정된 기업 등은 자체 보유한 생성AI 다목적 모형을 활용해 대학에 연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 데이터를 제공하고, 석·박사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지도를 수행한다. 또 과제당 2개 이상의 공동연구 과제를 발굴하고, 대학 재학 중인 석·박사생 총 24명 이상을 연구에 참여시킨다. 2차년도인 2026년부터는 매년 3명 이상의 우수 연구자(학생)를 선발해 기업에 파견하고 현장 중심의 심화 연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그동안 AI 교육은 대학 중심의 이론 위주로 이뤄져 산업계 수요와의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현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부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이슈브리프(AX 시대, AI 융합인재 양성 현황의 진단과 제언)에서 “현재의 AI 융합인재 양성 사업은 대학과 공공 교육기관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실제 기업이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와는 차이가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출연연-대학-기업 협력 기반의 AI 커리큘럼 마련, 기업 주도의 맞춤형 인재 양성, 재직자 친화적 교육과정 설계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업계가 원하는 실전형 AI 고급인재를 조기에 양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챗GPT, 딥시크 등 최근 생성 인공지능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산업과 사회 전반의 혁신적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며 “생성AI 선도기업과 대학 간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조기에 산업 현장이 원하는 생성 인공지능 핵심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