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2025년 산업기술 R&D 사업 선정… 총 68억 원 규모

[한국대학신문 박인규 기자]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정운) 컴퓨터공학부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관리하는 ‘2025년도 산업기술 R&D 사업’에 선정된 ‘적응형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반의 피부 진단 및 고주파/초음파 융복합 피부 치료기기 상용화’ 과제에 핵심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왼쪽부터 전병환 교수, 장익범 교수.
왼쪽부터 전병환 교수, 장익범 교수.

이번 과제는 ㈜메디코슨이 주관하고, 총 6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2025년 4월부터 2029년 12월까지 약 4년 9개월간 추진되며, 총 연구비는 약 68억 원(정부지원금 약 52억 원)에 이른다. 한국외대 컴퓨터공학부 전병환 교수, 장익범 교수 연구팀은 AI 알고리즘 개발의 핵심을 맡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2D·3D 기반 얼굴 복원 및 피부 상태 예측 기술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고주파/초음파 복합 치료를 위한 위치 가이딩 알고리즘 △예후 예측 모델 및 통합 시스템의 유효성 검증 등이다.

해당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급증하는 피부 건강 및 미용 수요에 대응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고도화에 기여할 혁신 의료기기 개발을 목표로 한다. 특히 진단(Dx), 계획(Px), 치료(Tx), 관리(Fx)에 이르는 전주기 피부 치료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분절적 진단·치료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멀티모달 영상 기반 비침습 진단기기, 고주파+초음파 복합 치료기기, 온디바이스 AI 기반 실시간 맞춤형 치료 시스템 등의 개발도 병행된다. 해당 기술은 치료 정확성과 사용자 접근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되며, 나아가 AI 기반 국산 의료기기의 상용화를 통해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