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퍼런스 13~14일 양일간 대전컨벤션센터서 열려
AI·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등 1만 여 명 참여
[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정제영·KERIS)은 오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콘퍼런스는 ‘교사, 연결과 협력으로 길을 만들다. 숲이 되다’를 주제로 열리며,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에 대한 현주소를 공유하고 교육 현장의 생생한 성공 사례와 정책 방향을 함께 체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인공지능·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이하 선도교사) 연수 참여자 및 관심 교원 등 1만여 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콘퍼런스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선도교사 연수에 참여한 전국 8000여 명 선생님들의 성과를 공유하는 ‘씨앗 구역’ △최신 교육정책 및 유수의 에듀테크를 체험할 수 있는 ‘새싹 구역’ △교사 전문성을 중심으로 강의 비법(노하우)을 나누고 배우는 ‘가지 구역’ △교육혁신의 주체로서 교사 간 연결과 협력을 이루는 ‘숲 구역’으로 구성된다.
‘씨앗 구역’의 개막식에선 인공지능·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실천했던 선도교사, 교사연구회 대표교사, 연구학교 대표교사가 저마다의 경험과 고민, 해결 방법을 공유하는 5분 발표를 시작으로, 선도교사 연수 여정을 함께한 전국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나누며 교류하는 시간을 가진다.
‘새싹 구역’에서는 교원의 인공지능·디지털 교육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선도교사 연수’ 성과와 전국 선도교사들이 교수·학습을 재구성한 ‘수업설계안’ 가운데 우수사례 80여 종이 전시된다. 또한 학교 현장의 디지털 전환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찾아가는 학교 연수’ ‘디지털 새싹’ 등 최신 교육정책을 한자리에서 소개하고, 실증을 거친 에듀테크 제품을 직접 탐색하고 체험할 수 있는 ‘에듀테크 소프트랩’ ‘에듀집(Edzip)’ 등 13개 전시관을 운영한다.
‘가지 구역’에서는 인공지능·디지털 기술 활용 수업혁신에 전문성과 경험을 가진 교사들의 48개 강의 비법 세미나가 진행되며 △인공지능(AI)·디지털 수업 설계 가이드 △교육맥락에서 바라보는 디지털 도구, 그리고 수업의 변화 △평가를 넘어 성찰로: 수업을 바꾸는 평가이야기 등 수업-평가를 지원하는 도구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업혁신 사례를 공유한다. 아울러 학생들의 마음 관리 방법, 관계 기술, 책임 있는 의사결정 등을 지원하는 ‘사회정서성장 지도(코칭) 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숲 구역’에서는 수석교사와 함께 디지털 시대의 학교 현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소통을 더하다’, 교사를 위한 ‘치유(힐링)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편 콘퍼런스와 연계해 ‘인공지능(AI) 시대, 사람 중심 미래 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한 ‘디지털 인재양성 100인 포럼’과 함께 ‘디지털 교육 포럼’, 에듀테크 정보·체험 플랫폼 ‘에듀집(Edzip) 개통식’ 등도 함께 열린다.
또한 행사 기간 전국 1486개 ‘디지털 기반 학생 맞춤 교육 선도학교’ 대표교사가 모여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실시하는 선도학교 워크숍이 개최된다. 워크숍에서는 김영하 작가와 송길영 작가의 특강도 마련된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학교가 학생의 강점을 발굴하고 성공 경험을 제공하며 성장형 사고를 기르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 수업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교육부는 교사의 전문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