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핀란드 평가서 최하위 판정
학계 “국제적 오해와 왜곡 불러” 반발
전문가 “투명한 기준 마련·국가 차원 대응 시급”

끊임없는 연구개발 투자와 교육 투자가 이뤄져야 대한민국의 미래와 지속적인 성장, 발전이 가능하다는 게 과학계의 중론이다. 이공계 대학의 한 학생이 첨단 인프라를 활용해 실습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최근 노르웨이와 핀란드 학술지 평가 시스템에서 국내 학술지 123종이 최하 등급을 받자 국내 학계는 "부당한 판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공계 대학의 한 학생이 첨단 인프라를 활용해 실습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국내 학술지 123종이 최근 노르웨이와 핀란드 학술지 평가 시스템에서 최하 등급인 ‘레벨0(Level 0)’ 판정을 받으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연구성과 평가와 연구비 배분에 학술지 등급을 반영하는데, 한국 학술지가 최하위 등급에 포함됐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국내 학계는 “부당한 판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번 논란은 지난 7월 한 언론 보도를 통해 불거졌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핀란드 학술지 평가 시스템에 등재된 한국 학술지 123종이 레벨0으로 분류돼 연구 업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한국 학술지의 위상과 연구자의 연구 성과가 평가절하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대해 한국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등 학계는 즉각 반박에 나섰다. 학계는 입장문을 통해 “레벨0은 질적 수준이 낮다는 의미가 아니라 해당 학술지가 양국 평가 시스템에서 등재 절차를 완료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며 “마치 한국 학술지가 열등한 학술지인 것처럼 보도된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제적 기준을 오해한 보도로 인해 연구자들이 불필요한 위축을 겪고 있다”며 언론의 책임 있는 보도를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제도적 한계와 대응 미흡을 문제로 지적한다. 노르웨이와 핀란드의 학술지 평가 시스템은 연구자 단체가 추천한 학술지를 심사해 등급을 매기는 방식인데, 한국 학술지는 국제적 네트워크 부족으로 추천 과정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대학 연구처장은 “국내 학술지가 국제적 연구 생태계와의 연계를 강화하지 못한 것도 원인”이라며 “국가 차원에서 학술지 국제화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정부와 연구재단 차원의 대응 필요성도 제기된다. 학계는 “개별 학술지가 국제 평가 체계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정확한 사실을 알리고, 한국 학술지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안을 계기로 국내 학술지의 국제적 경쟁력 제고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학계 안팎에서는 단순한 해명에 그칠 것이 아니라 국제 학술 생태계와 소통을 강화하고, 투명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