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과 석사과정 김범석, 성은총, 우찬민 학생

왼쪽부터 성은총, 김범석, 우찬민 학생.

[한국대학신문 김연주 기자] 국립금오공과대학교(총장 곽호상) 지능로보틱스연구실(지도교수 주백석) 소속의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학생들이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2025 국제 아이디어·발명·신제품 전시회(iENA 2025; International TradeFair_Ideas·Inventions·New Products 2025)에서 대학부문 ‘금상’을 수상했다.

iENA 2025는 발명 분야 최대 규모 국제전시회로,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독일 뉘른베르크(Nürnberg) 전시센터에서 열렸으며 올해 21개국에서 540여 점 이상의 발명품이 출품됐다. 수상자는 김범석, 성은총, 우찬민 학생(팀명 KIT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으로, 이들은 실내·외 환경의 제약 없이 이동이 자유로운 ‘Omni-bogie Transform Robot(전방위 보그 구조의 변형 로봇)’을 출품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보통 실제 산업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로봇은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첫째는 복잡한 실내에서 유연한 이동이 가능한 옴니휠(Omni Wheel) 로봇이고, 둘째는 재난환경에서의 비평탄 지형을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는 로커-보그(Rocker-bogie) 구조 로봇이다.

학생들이 개발한 ‘Omni-bogie Transform Robot’은 실내 환경에서 옴니휠 4개를 활용해 자유롭게 이동하고, 외부 험지 환경에서는 옴니휠을 2개로 재구성한 로커-보그 모드로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이러한 이중 모드 구조 덕분에 환경에 맞춰 별도의 로봇을 투입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현장에서 시간적·경제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구조 대상자의 병원 이송, 일상생활에서의 물품 배송 등 다양한 수행 작업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로봇 개발을 이끈 김범석 학생은 “두 개의 원판이 결합돼 회전 및 수직 등 전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옴니휠을 분할·합체해 연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이디어를 실제 실현할 수 있도록 도움주신 지도교수님과 함께 노력한 팀원들, 대학 RISE사업단에 감사드린다”며, “글로벌 기업들이 모인 아이디어의 향연 속에서 우리가 개발한 로봇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기쁘고, 앞으로도 환경의 제약 없이 구조, 탐색, 운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금오공대 RISE사업단(사업단장 직무대리 권오형)은 학생들의 iENA 2025 대회 출전 등을 지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