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사회과학·인문학진흥사업 계획 공모

정부가 인문학과 사회과학 연구에 792억원을 지원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15일, 2011년도 하반기 사회과학지원사업(SSK)과 인문학진흥사업(HK) 계획을 공모했다.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은 157개 과제에 전년 보다 60억원이 증액된 210억원이 지원된다. 157개 과제 중 전년에 이어 계속 지원되는 92개 과제를 제외하면, 65개 과제가 하반기에 신규 선정되는 것이다.

교과부는 “한국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8대 전략 아젠다를 제시한다”며 “하반기 신규 과제의 70%는 이 아젠다와 관련된 연구 과제를 선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제시한 8대 아젠다는 △다문화와 한국의 정체성 △한국사회와 교육 △저출산과 고령화 △과학기술 발전과 윤리 △남북한 통일과 사회변화 등이다.

사회과학 분야에 대한 전략적 지원은 ‘한국적 사회과학이 취약하다’는 학계의 지적에 따른 것이다. 또 △SSCI급 논문의 절대 부족 △국내 사회과학 박사의 경쟁력 취약 등의 문제를 해소 하고자는 취지도 담겼다.

현재 국내 학계의 SSCI급 사회과학 논문은 2009년 기준 617편으로 자연과학(3790편)과 공학(5767편) 분야의 SCI급 논문 편수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 서울지역 4년제 대학 사회과학 전임교원 중 국내 박사학위자는 32.4%다. 이 또한 자연과학(34.7%), 공학(41.0%)에 비해 토종박사 출신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교과부는 “사회과학계 전반을 자극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SSK사업을 최장 10년에 걸쳐 추진한다”고 밝혔다.

중장기적 연구의 특성을 반영해 1년차 평가는 컨설팅 방식으로 추진한다. 그러나 2년차 평가는 엄격하게 실시해 하위 20%를 탈락시키겠다는 게 교과부 방침이다.

인문한국(HK)사업에선 올해 총 484억원이 지원된다. 지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선정된 52개 연구소에 더해 2개 연구소를 새로 선정한다. ‘인문 중형’(연 5억원 내외)과 ‘해외 소형’(연 3억 내외)부문에서 각각 1개 연구소를 선정, 지원한다.

교과부는 “HK사업의 경우 신규 선정 시 해외 신흥지역(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CIS지역, 중남미 등)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라며 “연구소별로 특화된 아젠다와 연구영역을 구축할 수 있도록 분야별 특성화 지표를 적용, 연구업적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인문사회 학술연구조성사업 신규과제는 오는 5월말~6월, 8월 각 사업별로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re.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신청과제는 요건심사와 전공심사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되며, 오는 9월 1일부터 연구에 들어간다.

▼ 2011년도 하반기 인문사회 학술연구조성사업 지원 계획.(단위 : 백만원)

구분

사 업 명

예산

신규예산

(과제수)

연구형태

지원대상

과제당

지원금액

지원

기간

신청

기간

연구

개시일

평가

방법

인문학진흥

사업

인문한국지원사업

(HK)

40,400

1,000

(2)

공동

대학부설연구소

100~1,500

백만원

10년

(3+3+4)

6.20.

~

6.24.

9. 1.

요건

심사, 전공

심사 등

저술출판지원사업

(우수저서사후지원)

100

100

(10)

단독

「학술진흥 및 학자금대출 신용보증 등에 관한 법률」및 동법 시행령 제5조 규정에 해당하는 자

10

백만원

1년

7.1

~

7.8

9.1

요건

심사, 전공

심사 등

인문학

대중화

시민 인문강좌

650

650

(16)

단독

인문학 강좌 개발 및 운영, 연구비 중앙관리가 가능한 기관

40

백만원

1년

9월

12.1

요건

심사, 전공

심사 등

석학 인문강좌

850

850

(10)

-

지정과제

-

-

-

11월

별도

심사

인문주간 등

1,200

850

(20)

-

대학(단과대, 학과(부)) 및 대학 부설기관, 대학 외부 각종 연구?사회?문화기관(단체)

30~50백만원

-

6월

9.19

요건

심사, 본심사 등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

한국사회과학연구

지원사업(SSK)

20,725

8,666

(65)

공동

인문사회 분야 석?박사과정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 혹은 해당기관과 협력연구가 가능한 연구자

(소형)

100

백만원

10년

(3+3+4)

5.31.

~

6.14.

9. 1.

요건

심사,

전공

심사 등

사회과학특정연구지원사업

SSK-

Networking

150

150

(1)

공동

지정과제

150

백만원

1년

-

6. 1.

별도

심사

사회과학

성과홍보?

확산

75

75

(1)

공동

지정과제

75

백만원

1년

-

6. 1.

별도

심사

사회과학중장기 Agenda 개발

50

50

(1)

공동

사회과학 분야

국내 소속 전임교원

50

백만원

6개월

5.31.

~

6.14.

8. 1.

요건

심사, 전공

심사 등

학제간융합연구지원

4,000

2,600

(27)

공동

인문사회(예술?체육학 등)와 이공계의 융합분야 연구팀

50~180

백만원

1~5년

(3+2)

6. 8.

~

6.14.

9. 1

요건

심사, 전공심사

대학중점연구소지원

11,060

454

(1)

공동

인문사회 분야 대학부설연구소(신규과제는 예술체육분야만 지원)

230

백만원

9년

(3+3+3)

8.25.

~

8.31.

12. 1.

요건

심사, 전공심사

합계

79,260

15,445

(145)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