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북 프레임에 진보 발언 자제 경향
진보학자들 학생들과 토론 더 익숙해

[한국대학신문 이재 기자] 강단 위의 정치가 도마에 올랐다. 균형잡힌 시각을 전달해야 할 교수들이 검증되지 않은 이야기를 학생들에게 전파하고 학점을 빌미로 과제를 제출하게 하는 등 적절치 않은 강의방식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지난 2일 최우원 부산대 교수(철학과)는 강단에 서서 학생들에게 “노무현 전 대통령은 가짜 대통령”이라며 “개표조작으로 당선된 증거를 찾아오라”는 취지의 과제를 냈다. 최 교수는 과거 철학과 조교 채용 면접에서 종북 좌익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해 정직 3개월을 받는 등 전력으로 이미 대학가에서는 꽤 유명한 인사다.

이 강의에서 또 최 교수는 전자개표 조작에 대한 영상을 학생들에게 시청토록 하고 박원순 서울시장의 아들 박모씨가 병역을 기피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부산대 총학생회는 최 교수에게 편파 레포트를 취소하고 수강생들에게 사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자기 개인의 정치적 신념을 가질 자유가 있다. 교수라는 직위를 악용해 학점을 볼모로 신념을 강요하는 것은 협박과 다름 없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강단 위의 정치주장은 최 교수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경기지역 한 대학 재학생 A씨는 “수업에서 자주 우경화된 발언을 하는 교수들이 있다. 이들은 일부 정치인을 종북이나 빨갱이라고 서슴없이 매도하곤 한다”고 밝혔다.

유독 보수성향의 발언이 논란이 되는 것은 왜일까. 학계에서는 ‘종북’ 프레임이 진보인사들의 발언을 가로막고 있다고 분석했다. 표현의 자유가 위축됐다는 것이다.

김민기 숭실대 교수(언론홍보학과)는 “강단에서 특정한 정파적 주장을 하는 경우는 좌우 모두 있다. 진보적 발언의 경우 종북몰이의 마녀사냥을 당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더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2013년 경희대에서는 마르크스 경제학을 강의한 임모 강사가 학생으로부터 국정원에 고발당하기도 했다. 당시 임씨를 고발한 학생은 임씨가 반미사상을 갖고 있고 민주노동당에서 간부로 일한 전력을 문제삼았다.

다른 해석도 있다. 진보학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젊은 소장파 교수들이 많아 학생들과 의견을 나누는데 더 익숙하다는 것이다. A씨는 “사회비판적인 교수들은 학생들로부터의 지적을 받아들이고 토론하려는 자세를 보이는데 상대적으로 보수성향의 발언을 하는 교수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