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부담 덜어주고 질 중심 교육 강조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중국 해난지방의 의무교육과 관련된 교사들은 내년 1월에 국가가 급료를 지불할 것이므로 기금부족으로 인한 급료지급 연기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인민일보가 지난달 28일 보도했다. 인민일보에 따르면 이는 거대한 국가재정 소요가 예상되는 중국에서의 기초 교육개혁의 중요한 조치들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것. 이 개혁안은 교사들의 보수이외에도 올해 초 국가의회의 결정에 따라 새로운 커리큘럼 정비와 교육의 질적인 평가도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9년간의 의무교육제도가 실시됐으며 청년 및 중년사람들의 문맹퇴치 목표도 실현되었다. 중국은 특히 학생들의 시험부담을 덜어주고 질 중심의 교육을 강조함으로써 의무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방법의 실험에 초점을 돌렸다. 개혁의 선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해난지방의 학생 2천만명이 정보기술과 사회실습과정이 있는 새로운 커리큘럼의 학업기회를 동료들보다 앞서 갖게 된 것이다. 이런 과정들은 학생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다재다능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라고. 현재 중국은 의무교육의 혜택을 받고 있는 2억 이상의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이 있으며 전체인구의 6분 1을 차지한다. 중국정부는 기반구조와 교육적 목표의 일차적인 분야로 기초교육을 강조해왔다. 중국의 기초교육은 유아교육, 9년 의무교육, 장애자들을 위한 특수교육 및 문맹퇴치교육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00년도 말에 의무교육은 중국인구의 85%에 이르렀으며 청소년 및 중년의 문맹성인들의 비율도 5%이하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중국의 농촌교육은 지역마다 다양하다. 특히 농촌지역에서 의무교육에 사용되는 기금을 확보할 수 없었던 사실은 현행 기초교육제도의 가장 뚜렷한 문제점이다. 중국 재정부는 향후 5년 동안 빈곤 농촌지역에서 기초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50억 위안(元)의 자금을 출자할 계획을 갖고 있다. 중국은 또 공정하지 못한 수업료를 해결하기 위해 가난한 지역들로 하여금 의무교육을 위한 통일된 수업료 기준과 교과서 비용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밖에도 중국정부는 향후 2∼3년 내에 농촌지역의 낡은 학교건물들을 개조하기 위해 30억 위안의 자금을 충당하였다. 중국은 세계의 선진국 기준까지 기초교육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기초교육의 목표달성기한을 2010년으로 설정했다고 인민일보가 전했다. 【인민일보】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