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성명

[한국대학신문 이재 기자] 국공립대 교수들이 교육부 국립대학자원관리시스템(코러스) 전면실시 중단을 요구했다.

6일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는 교육부가 1월 1일부터 전면도입한 코러스는 국립대를 행·재정적으로 통제하고 국립대의 재정부담을 가중시킨다며 운영 중단을 촉구했다.

국교련은 “국립대학 선진화 방안은 총장직선제와 학장직선제를 폐지하고 성과급적 연봉제를 도입하는 등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국립대를 교육부 통제에 두려는 정책이었다. 코러스 역시 대학을 행·재정적으로 통제·감시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러스 유지 보수와 운영을 위해 교육부는 대학에 재정적 분담을 요구했고, 사업비 554억원 중 332억원을 대학에 떠넘겼다 .2017년 각 국공립대는 운영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학생에 대한 지원서비스 확대라는 교육부의 주장과 달리 학생교육 부실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코러스는 통합관리시스템이라는 주장이 무색하게 학사와 입학, 부속기관에 대한 업무지원 기능을 포함하지 않은 불안전한 시스템”이라며 “대부분 국공립대는 코러스와 함께 기존에 이용하던 시스템을 병행·운영해야 한다. 이는 교육부가 주장한 행정적 효율성과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국립대에 이중의 노력과 비용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러스는 국립대의 재정·회계, 인사·급여, 산학·연구 분야를 유기적으로 통합한 행·재정 시스템이다. 대학행정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학사분야는 빠졌다. 2015년 6월부터 개발에 착수해 시범운영을 거쳐 1월 1일부터 전면도입됐다. 산재한 국립대의 행정시스템을 일원화해 국립대 자원관리 시스템을 선진화하기 위한 취지로 시작됐다. 그러나 교육부의 필요에 의해 도입된 사업에 국립대가 수억~수십억원의 분담금을 납부하도록 돼있어 국립대 구성원들의 반발을 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