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호(가명) C대 평가팀장

교육부는 곧 다가올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에 대비하고자 대학 구조개혁을 통한 입학정원 줄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앞으로 다가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무한경쟁시대를 대비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교육에 대해 철저한 준비를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지 반문해 본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해서 현재 일자리의 상당수가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무인자동차, 빅데이터, 드론을 통한 택배, AI, IoT, 로봇 등으로 단순 노동력을 요하는 일자리의 경우 90%이상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려면 기존 학문으로는 한계가 있기에 학문 간 벽을 허물고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조해 내야 한다.

2000년대 초반 중국은 40여개의 대학에 일 년에 500명씩 총 2만여 명의 소프트웨어(SW) 인재를 배출하는 ‘소프트웨어 스쿨’을 설립했다. 모든 학생이 코딩을 배우고 창의적 문제해결 방식에 집중하는 교육과정을 대대적으로 실행했다. 15년이 지난 뒤 SW 인재는 30만 명에 육박하고 이들이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 등 굴지의 정보기술(IT) 기업에서 구글과 아마존을 경쟁상대로 삼거나 하루에 1만1000개가 새로 생겨나는 창업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는 김대중 정부 때 정보·컴퓨터 과목을 중학교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치도록 해 2006년까지 정보·컴퓨터 과목을 가르치는 학교 비중이 79%를 기록했지만 이명박 정부 이후 각 시도교육청 선택에 맡기게 되면서 2015년 기준 23%로 떨어졌다. 그 기간 수많은 정보·컴퓨터 교사들이 영어, 수학 등 다른 과목으로 전공을 바꿨다. 2015년 전국 중학교 정보·컴퓨터 정교사 자격증이 있는 1866명의 교사 중 정보·컴퓨터 과목을 여전히 담당하는 교사는 43%인 807명에 불과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경쟁력은 생산에서든 소비에서든 새로운 플랫폼을 설계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통계학만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예측했지만, 빅데이터 시대에 현상을 파악하고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과 수학을 가미한 창의적인 교육 즉 융합된 교육을 받지 않고서는 다가오는 미래에 필요한 인재상을 맞출 수 없다.

이제 대학과 당국은 몸집을 줄이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학생 수 정원 조정에 집중하기보다는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재를 키울 수 있는 학습여건과 교육과정 개편 등에 집중을 해야 한다. 학생정원 조정의 경우 입학하려는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 논리에 맞춰 대학의 도태와 성장이 이뤄질 수 있게 인위적인 구조조정보다는 자연스런 시장 논리에 맡겨야 한다.

지금 세계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각국이 무한 경쟁 시대에 돌입해 눈에 보이지 않는 치열한 싸움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원천은 무한한 창조를 통한 무형의 재원을 활용하는 것이기에 우리나라와 같이 부존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무엇보다 창조를 바탕으로 한 교육을 통해 인재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 [대학通]은 교직원 여러분이 참여하는 칼럼입니다. 대학행정 소회, 제언, 단상 등 주제에 제한이 없습니다. 원고지 6매 분량, 사진 1매 첨부해서 편집국장 메일(leejh@unn.net)로 직접 보내주세요. 게재된 원고에는 소정의 고료를 드립니다. 익명 투고도 가능합니다.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