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4월 3일 대선후보 결정 … 과반후보 없으면 8일 결선투표

국민의당·한국당 경선 갈등 바른당 28일 후보 지명 정의당 심상정

[한국대학신문 이재·천주연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됐다. 다가올 각 당의 경선과 맞물려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가 시작될 전망이다. 헌법상 대통령 탄핵 뒤 조기 대선은 탄핵 확정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치러야 한다. 10일 탄핵이 인용됐기 때문에 5월 9일이 ‘마지노선’이다. 

가장 유력한 조기 대선일은 60일째인 5월 9일이다. 선거준비기간이나 선거운동기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최대한 늦게 조기 대선을 치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5월 첫째 주는 근로자의 날(5월 1일), 석가탄신일(5월 3일), 어린이날(5일) 등 휴일이 몰려 있어 대선일로 지정하기 까다롭다. 법적으로 대선은 수요일에 치르도록 돼 있지만 조기 대선은 이 조항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9일이 유력하다.

선거일을 5월 9일로 예상하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국무총리)은 늦어도 20일까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한다. 관계법상 선거일은 선거일로부터 50일 전까지 대통령 혹은 대통령 권한대행자가 공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외부재자 신고와 재외선거인 등록신청은 선거일 40일 전인 3월 30일까지 마쳐야 하고, 대선에 나설 공직자는 선거 30일 전인 4월 9일까지 공직에서 사퇴해야 한다. 대선 출마의지를 밝힌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밖에도 선거인 명부 작성(4월 11~15일), 후보자등록 신청(4월 15~16일) 등 일정이 남아있다. 4월 25~30일 재외투표소 투표, 5월 4~5일 사전투표소 투표 등이 치러진다. 선거 당일 투표는 오전 6시~오후 8시까지 진행된다. 대선일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지만 조기 대선은 조항이 없다. 단 황교안 권한대행이 임시공휴일을 검토할 여지는 있다.

탄핵 선고를 앞두고 고요했던 여의도는 탄핵인용 뒤 더욱 분주해졌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대표는 국회 정론관을 찾아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의 위대한 진전을 이뤘다. 국민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위대한 국민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탄핵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며 국민 대통합을 강조했다.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도 정론관을 찾아 출마선언에 가까운 논평을 내놨다.

각 당은 논평을 통해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는 뜻을 전했다. 주목을 모았던 자유한국당은 “헌법재판소의 고뇌와 숙의를 존중하고 인용 결정을 중하게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각 당은 본격적인 경선 레이스에 돌입할 전망이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4월 3일 경선일정을 마무리하고 본선 후보를 확정할 전망이다. 다만 이날 과반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8일 결선투표를 치러 최종 후보를 정한다.

지난 9일부터 1차 선거인단을 모집한 더불어민주당은 이미 선거인단 163만595명을 모집했다. 오는 12일 오전 10시부터 2차 선거인단을 모집한다. 2차 모집은 21일 오후 6시 마감된다. 22일부터 더불어민주당은 전국 250곳에서 전국동시투표를 치르고 ARS투표를 순회경선지역별로 치른다.

국민의당은 아직 경선룰과 일정을 정하지 못했다. 안철수 전 상임대표와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 천정배 전 공동대표가 대선 출마의 뜻을 밝힌 가운데 경선률 협상에 진척이 없는 것.

여권에서도 자유한국당은 아직 경선룰을 정하지 못했다. 자유한국당은 이인제 전 최고위원과 원유철 의원, 안상수 의원, 신용한 전 대통령직속 청년위원장이 대선 출마를 선언했지만 유력한 후보는 없다는 평가다. 오히려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한 바 있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지지율이 더 높다.

바른정당은 3월 28일 후보자 지명대회를 열고 대선 후보를 확정할 방침이다. 박 전 대통령과 대립했던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지사가 유력한 대권후보다.

정의당은 원내 정당 가운데 유일하게 대선후보를 결정했다. 심상정 상임대표가 대선 3번째 출마를 확정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