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허지은 기자] 코로나19는 확실히 경제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굳이 사례를 들지 않더라도, 모든 뉴스가 코로나19 소식에 묻혀 있어 그 심각성을 모르려야 모를 수 없을 것이다. 시선을 교육계로만 좁혀 봐도, 코로나19의 파장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학생들은 학교를 못 가고, 교육부의 대학 평가 일정도 일제히 연기됐다. 비행기도 멈추는 수능을 뒤로 미룰지도 모른다.

대학가는 저마다 비상이지만, 누가 뭐래도 가장 골치가 아픈 곳은 국제교류 업무 담당자들이다. 유학생들이 못 오고, 우리 학생도 못 나가고 있어서다. 국제‘교류’ 자체에 제동이 들어왔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함을 호소하는 대학들도 많다. 코로나19는 국제교류 업무에도 확실히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런가하면 이때를 틈타 코로나19를 핑계로 자신들의 과오를 은근슬쩍 묻으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그동안 무리하게 유학생을 유치해 불법체류율을 ‘아랫돌 빼어 윗돌 괴듯’ 관리했던 몇몇 대학들마저도 마치 ‘코로나19 때문에’ 불법체류율이 높아진 체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불법체류 학생이 늘 것을 알면서도 눈앞의 인증에만 급급했던 이들이다. 정상적으로 유학생을 유치하고 불법체류 학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온 대학들이 코로나19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주장하자, 그 뒤에 숨어 잇속을 챙기려는 심산이다.

잠시 눈을 돌려보면, 원격교육 문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보인다. 원격수업 할 자료도, 인프라도 안 갖춰져 있어 어떻게 수업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대학들의 이야기다. 물론 갑작스러운 상황에 준비가 안 돼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가 되는 말이다. 하지만 평소에 원격교육을 등한시 했던 이유로 준비가 미숙한 부분까지 코로나19 탓을 하는 것은 ‘비겁한 변명’이다. 도리어 이는 추후 대학 전체를 궁지로 몰아넣을 수 있다. 꼭 필요한 지원 정책이 마련되는 것도, 정책이 개선되는 것도 방해하는 ‘불신’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시간과 기회 줬을 때 달리지 않아놓고, 혹은 그 때부터 있었던 문제에 대해서는 신경을 쓰지 않고 이제야 완주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불평하는 모양새로 비춰질 수밖에 없다.

다시 돌아와서, 교육국제화역량 인증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 뒤에 숨은 문제 대학들의 모습은, 불법체류율 기준에 대한 합리적인 지적의 명분을 약화시킬 수 있다. 정말로 불법체류자를 양산해왔던 몇몇 대학의 행태로 평가 자체가 강화되는 일을 대학 사회는 이미 겪었다.

정상적으로 유학생을 유치해 왔던 대학도, ‘우리가 남이가’라는 생각이나, 자신들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정상적인 운영을 해온 대학들의 ‘꼼수’를 옹호해선 안 된다. 오히려 이럴 때일수록 무리한 유학생 유치로 인한 ‘불법체류자’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한 ‘불법체류율’ 증가 문제는 엄격히 분리해서 따져야 한다. 자정 능력을 잃으면 자율성도 함께 잃게 되기 마련이다.

한 단계 나아간 방향을 감히 제시한다면, 코로나19 사태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는 것도 좋을 것이다. 불법체류 학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대학 자체만의 노력만으로 극복하기 힘든 부분도 물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를 위해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있다면 이번 기회에 함께 제안하는 것도 바람직해 보인다. 지금이 바로 국제화를 위한 기틀을 단단히 할 기회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