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수업 택하더라도 실험·실습은 예외적 대면수업 허용 등 ‘절충안’ 많아
대학들 결정 왜 엇갈리나…부딪히는 학생 여론, 온라인수업-대면수업 지지 의견차 ‘극명’
전공 따라 엇갈리는 교수들 반응…공대 등 ‘대면수업’, 문과대 등 ‘온라인수업’ 
지방 학생들 거주지는 어쩌나…강의실 확보 등 현실적 문제들도 ‘산적’
비대면수업 연장 시에는 ‘전면 연장’이 대세, 1~2주 연기는 ‘지양’

(사진=한국대학신문DB)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박대호 기자] 대면수업 실시 여부를 놓고 대학들이 ‘기로’에 섰다. 대면수업을 강행할 것인지, 1학기를 전면 비대면수업으로 채울 것인지를 선택해야 할 때다. 당초 예고했던 대면수업 시작 개시일이 대부분 5월 초중순에 몰려있다 보니 늦어도 다음 주까지는 학생들에게 대면수업 시작 여부를 알려야 하기 때문이다. 마침 하루 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정례 브리핑을 통해 △발열체크 △마스크 착용 △손 소독 △2m 거리두기 등 기본 수칙을 지킨다면, 실습·실기 수업 등에 한해 부분적으로 대면수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대학들의 결정은 엇갈린다. 고려대를 비롯해 광주대·한남대 등은 대면 수업을 사실상 ‘강행’한다. 예방·방역 조치를 철저히 시행하고, 학생들의 사정에 따라 대면수업 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따라 붙지만, 일단은 대면수업을 허용한다.

반면, 서울시립대·중앙대 등은 1학기에 ‘전면 비대면 수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집단감염 위험 등 ‘안전’을 생각했을 때 학생들을 캠퍼스로 불러 모으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코로나19의 위험성이 완전히 종식되지 않은 이상 대면수업을 시행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이들 대학의 생각이다.

대학들의 결정이 이토록 엇갈리는 것은 학생들부터 시작해 교수들까지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을 지지하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어느 의견에 무게를 좀 더 둘 것인지를 선택했을 뿐이다. 

대면수업을 지지하는 학생들은 길어지는 비대면수업이 학습 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고 지적한다. 대면수업과 비교했을 때 수업의 질이 낮은 데다 처음 전면 시행된 온라인강의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학업을 이어나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이제는 온라인 강의를 그만 듣고 싶다는 학생들의 반응도 만만찮게 많다”며 “학생들 입장에서 생각하면 답답함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했다. 

반대로 비대면수업을 지지하는 학생들은 ‘현실적인 문제’들을 주로 거론한다. 특히, 지방에 적을 두고 있는 학생들의 불만이 크다. 5월 초중순부터 비대면수업을 시작한다면, 학기를 다소 연장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수업이 이뤄지는 것은 8주 남짓. 이 기간을 위해 거주지를 알아보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코로나19의 위험성이 잔존하는 상황에서 대학이 학생들을 한 곳에 불러모으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기숙사 개방 등도 대안으로 거론되지만, 지방학생을 전부 수용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닌 데다 집단감염 위험성만 높일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교수들은 학생들과는 생각하는 방향이 다소 다르다. 배우는 입장이 아니라 가르치는 입장이다 보니 전공에 따라 다른 의견을 내놓는 경우가 많다. 실험·실습·실기 수업이 필수인 공대나 예체능계열, 의대·간호대 등 의학계열 등은 더 이상 비대면수업을 이어나가기 어렵다고 보는 반면, 문과대 등은 비대면수업으로도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내부 구성원들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다 보니 대학들의 결정도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양 측의 의견이 모두 설득력이 있다 보니 어느 한 쪽의 의견만을 좇아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다. 

비대면수업을 결정한 한 대학 관계자는 “대면수업 시행 여부에 대한 것은 결국 선택의 문제다. 만약 대면수업을 강행했다가 문제가 생기면 결정을 내린 대학 본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누가 그 책임을 질 수 있겠냐는 데 의견이 모아져 비대면수업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했다. 

비대면수업 못지 않게 대면수업을 지지하는 의견이 많다 보니 ‘절충안’을 선택하는 대학들도 상당수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일단, 1학기를 전면 비대면수업으로 채우되 실험·실습 과목 등에 한해서만 비대면수업을 실시하는 방안이다. 단국대·서울시립대·중앙대 등이 이러한 사례들이다. 이들 대학은 방역 기준을 철저히 지키면서 해당 과목들에 한해서만 대면수업을 예외적으로 허용하겠다는 방침이다.

대면수업 실시 결정을 내린 고려대도 일종의 ‘절충안’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을 병행할 수 있는 과목에만 대면수업을 허용해 학생들의 선택권을 폭넓게 보장하겠다는 방침이기 때문이다. 30명 이하 소규모 강의는 대면수업만 시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수강생 전원의 동의를 받고, 거리 두기가 가능한 강의실을 확보해야 한다는 조건도 내걸었다. 

아직 의견수렴에 머물러 있는 대학들도 다음 주 중에는 대면수업 시행 여부를 모두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 가운데 어느 방향을 택하는 것이 옳은지에 대해 아직 논의하고 있다”며 “두 방안의 장단점이 있는 만큼 여러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대면·비대면수업 병행이나 조건부 대면수업 실시 등 다른 대학들의 사례들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