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과 심리학의 융합…음양에 따른 심리검사로 마음치유·건강관리
[한국대학신문 백수현 기자] 부산대학교(총장 차정인)와 경성대학교(총장 송수건) 공동연구진이 음양(陰陽)에 따른 심리 기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SPQ(사상성격검사)’ 검사도구를 국내 처음으로 개발 출시했다.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진료와 상담, 양·한방 협진 등 다양한 교육 및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이 기대된다.
채한 부산대 한의학과 교수와 이수진 경성대 심리학과 교수는 사상 체질과 음양에 있어서 개인의 고유한 기질을 측정하는 다차원적 생리심리검사인 ‘SPQ(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를 시행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해 최근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음양’은 동양을 대표하는 가장 오래된 이론으로, 인간의 심리와 건강에 대한 정수를 담고 있다. 많은 의료기관 및 교육기관에서 몸과 마음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해 활용하고자 해왔으나, 음양 심리를 측정하는 객관적인 검사가 개발되지 못해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한의SPQ를 개발한 채한·이수진 교수 부부는 지난 20년간 한의학·심리학 융합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2003년 국내 최초로 사상의학을 해외 SCI급 논문에 소개하기도 했다.
음양은 서로 정반대이면서 균형과 조화의 보완적인 관계를 말한다. 연구팀은 지난 연구를 통해 미국 워싱턴대 신경정신과 클로닌저 교수의 생물심리학적 기질이론을 사용해 음양 심리학이 과학적임을 확인했다.
음양 심리학의 과학적 증명을 통해 개발된 객관적 측정 검사는 한국에서 처음 출시되는 것으로, 통합의학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 한의학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SPQ 관련 SCI급 논문이 16편에 이를 정도로, SPQ는 임상 연구를 통해 질환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연구돼 왔다.
음양 심리를 측정하는 객관적이고 검증된 검사도구인 SPQ가 이번에 정식 출시됨에 따라, 교육기관 및 임상 현장에서 한의사와 심리전문가들이 필요할 때 언제나 용이하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PQ 검사는 개인의 행동 태도, 인지 방식 및 정서 반응을 분석하는 세 가지 척도와 이를 합한 총점으로 구성된다. 총점을 사용해 음인, 평인, 양인의 세 가지 음양 유형을 구분하며, 하위척도를 사용해 피험자의 음양 유형 속에 숨어 있는 생리심리 프로파일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SPQ 검사도구 매뉴얼을 출판한 한국심리주식회사는 한의학 전문 디지털 검사 서비스를 위해 의료·임상데이터플랫폼 서비스 기업인 클루피㈜와 공동으로 한의학심리연구소(kmpri.co.kr)를 개설하고 검사지와 매뉴얼을 9일부터 일반에 공개한다.
채 교수는 “SPQ는 추상적이라고만 여겨 왔던 음양을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 검사로, 건강한 일반인이나 환자, 남녀 및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검증되고 표준화된 심리검사도구”라며, “신체특성과 임상증상에 대한 검사들과 함께 사용하면 사상체질 진단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SPQ는 한국인의 음양 심리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과학적인 심리검사도구로서, 동양의 지혜와 임상 관련 지식들을 다양한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