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4차 산업혁명 산업기술 인재양성 방안’ 토론회서 주장
[한국대학신문 이원지 기자]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는 김대종 경영학부 교수가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인재 육성방안과 입법적 과제’ 토론자로 참석해 “초‧중‧고‧대학 코딩교육 필수과목으로 정하자”고 주장했다고 24일 밝혔다.
토론회는 22일 국회미래연구원, 민주연구원, 여의도연구원, 정의정책연구소가 공동주최해 진행됐다.
코딩은 미래세대에 가장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컴퓨터 언어이다. 영국은 수년 전부터 초등학생에게 코딩을 가르치며 미래인재를 키우고 있다.
김 교수는 “세종대는 국내 대학 최초로 전교생에게 코딩을 필수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최근 졸업생들이 미국 애플과 아마존 등 세계적인 기업에 코딩전문가로 취업하면서 성과를 내고 있다. 교육부는 서둘러 학생들에게 코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교육열, IT인프라, 스마트폰 보급률, 메모리반도체 그리고 전자정부 등에서 세계 1위이다. 그는 “우리나라의 장점을 살려 국가를 테스트 베드화 하자. 전 세계가 신제품을 한국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고 시험하게 하자. 세계경제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2%이다. SW인재를 양성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인력을 키운다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강한 국가가 될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가 앞장서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인력 4만 명 이상을 양성한다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 “내년 1월 20일 바이든 취임 이후 미국은 CPTTP에 가입할 것이다. SW 인재는 바이든 행정부의 다자무역 확대로 해외진출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무역확대라는 세계적 흐름에 편승하여 한국도 RCEP와 CPTTP에 적극 가입하자. 미국과 함께 세계무역의 표준을 선도하자”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국은 4차 산업 인재육성에 국가의 생존이 달려있다. 서둘러 모든 학생에게 코딩을 가르치자. 혁신적인 교육이 한국을 세계 최고의 선진국으로 만들 것이다. 정부가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라며 토론을 마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