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 직격탄 맞는 지방대 입장에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구제책 될 수 있어
지역대학 관계자들 "동의하지만 사후관리 필요"
전문가들 "외국인 학생 적응 위한 학사 운영해야"
[한국대학신문 장혜승 기자]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지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될 것이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인구문제연구소는 15년 전 한국의 저출산과 대학 정원 미달 문제를 익히 지적했다. 학령인구 급감과 학생들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 지방대가 텅 비어버린 상황에서 재외국민 전형을 통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지방대 구제책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역 대학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급한 불을 끌 수는 있지만 철저한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재외국민 전형, 지방대 신입생 유치 수단될 수 있어 = 지방대가 신입생 미달 사태로 극심한 몸살을 앓는 가운데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통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대학들의 신입생 모집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재외국민 특별전형은 정원 외 선발 제도의 일종이다. ‘정원 외 선발’은 대학이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라 입학정원의 일정 비율에 한해 대상 학생들을 선발할 수 있는 제도다. 크게 농어촌 및 도서·벽지 학생, 저소득층을 뽑는 고른기회전형과 재외국민, 북한이탈주민 등을 뽑는 재외국민 특별전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고른기회전형은 입학 정원의 11%까지 선발 가능하다. 재외국민 특별전형은 다시 재외국민(3년특례), 전 교육과정 해외이수자(12년 특례, 외국인 포함), 새터민(북한이탈주민)으로 나뉜다. 해외 체류 기간이 3년 이상인 재외국민(3년특례) 전형의 경우 대학별로 정원 외 2%라는 모집인원 제한이 명시돼 있지만 해외에서 초중고 전과정을 이수한 재외국민 혹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전 교육과정 이수자(12년 특례) 전형은 대학별 모집인원 제한이 없다.
그렇다보니 신입생 미달 사태가 주로 지방대와 전문대에 집중된 현실에서 정원 제한이 없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대안으로 떠오른 상황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1학년도 전국 대학 등록자 기준 전체 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은 91.4%로 총 4만 486명이 미충원됐다. 미충원 인원은 주로 지방대와 전문대에 집중됐고 미충원 인원 중 75%에 해당하는 3만 458명이 서울·경기를 제외한 비수도권 대학에서 나왔다.
■지방대 “자구책될 수 있으나 사후관리 필요” = 지역 대학 관계자들은 학령인구 급감 상황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당장의 입학 자원으로 도움이 된다는 데 동의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관리가 중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외국인 유학생들을 받아들이더라도 학사 운영상의 보완점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지연 전국대학교입학관련처장협의회 강원권역 회장(한라대 입학처장)은 “지방대 자구책이 될 수는 있으나 학교 구성원 간의 합의나 교육과정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유학생들의 대부분이 중국이나 베트남 같은 동남아시아에서 오는데 한국 학생들과 학력 차이가 많이 난다”며 “교수님들 입장에서도 시험 문제를 따로 출제해야 해서 학사운영 상의 애로사항들이 많다”고 전했다.
유인영 전국대학교입학관련처장협의회 회장(극동대 입학처장)도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유 회장은 “2025년까지 학령인구가 주는 것이 정해진 상황에서 지역 대학의 어려움을 돌파하려면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외국인 학생 유치에만 집중할 게 아니라 중도탈락율을 낮출 수 있도록 고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외국인 유학생 배려한 학사제도 운영해야” = 전문가들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사후관리 차원에서 이들을 배려한 학사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박주호 한양대 교육학과 교수는 “유학 초창기만큼이라도 외국 학생과 국내 학생의 학위과정을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언어·문화적인 문제로 함께 수업하면 둘 다 피해를 보고 교수도 강의가 힘들기 때문”이라면서 “추후 외국인 학생의 적응도가 높아지면 한국 학생들과 통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국인 학생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서라도 학사운영상 배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일권 광운대 교무처장은 “자질이 뛰어난 외국인 학생을 처음부터 뽑으면 좋겠지만 일부 상위권 대학을 제외하면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니 다소 부족하더라도 뽑아서 잘 가르치는 방향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같은 한국인 학생의 경우에도 문과 학생이 교차지원으로 이공계 학과에 입학하게 되면 문과 학생 대상의 별도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처럼 외국인 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별도 과목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외국인 학생의 수요에 맞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오부윤 인덕대 국제교류원장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핵심은 콘텐츠”라고 강조했다. 오 원장은 “외국인 학생의 유학 목적에 맞는 내실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본국으로 돌아가서 일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 대학의 경우 그 지역의 특성을 살린 학과를 운영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주도에 있는 대학이라면 농업관광에 특화된 학과를 운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