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학원 정시 교차지원 실제 합격 사례 발표

2022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들. (사진=서울시교육청)
2022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들. (사진=서울시교육청)

[한국대학신문 장혜승 기자]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첫 문이과 통합수능으로 실시되면서 이과생이 유리할 것이라는 예측이 현실로 드러났다. 문과생에 비해 수학 점수가 높은 이과생이 정시 교차지원으로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에 합격하는 사례가 실제로 확인됐다.

9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수능 점수가 경희대 물리학과와 건국대 컴퓨터공학 지원 가능권 학생이 연세대 경영학과에 합격하거나 동국대 자연계열 지원 가능권인 이과 학생이 고려대 인문계열과 서강대 경영학과에 합격한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외에도 숭실대 자연계열 지원 가능권 학생이 연세대 경제학부에 합격하거나 서울과기대 자연계열 지원 가능권 학생이 연세대 국어국문과에 합격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톨릭대 자연계열에서 서울시립대 경영학부에 합격한 사례도 확인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통합수능 첫해 자연계열 학과는 수학 고득점자 양산으로 합격선이 올라간 반면 인문계열은 수학점수 하락으로 합격선이 낮아져 이과에서 문과 교차지원시 합격대학 수준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수험생들이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권 소재 대학 자연계에서 교차지원시 수도권 상위권 대학까지 합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당초 통합수능이 실시되면서 이과에서 문과로의 교차지원이 다수 발생할 거라는 예측이 제기된 바 있다. 통합형 수능 체제에서는 문과생과 이과생이 같은 수학 문제를 풀고 점수도 동일하게 산출하는데 이과생이 수학에서 문과생보다 높은 표준점수를 받는 데 유리하다. 종로학원 분석 결과는 실제 상당수 학생들이 실제 이과에서 문과로 지원했고 합격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임 대표는 “통합수능 2년차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문과 학생들의 합격선 예측이 어려워지고 합격점수 등락폭도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교차지원한 학생들이 문과에서 다시 반수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