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규 서령고 교사

최진규 서령고 교사
최진규 서령고 교사

도시기반시설(都市基盤施設)이란 도시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시설을 의미한다. 이 시설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도로·철도·항만·공항·주차장 등의 교통시설을 비롯해 광장·공원·녹지 등의 공간시설, 그리고 유통업무설비·수도(전기) 가스공급설비·방송(통신)시설·공동구 등의 유통 공급시설, 학교 공공청사 문화시설 및 공공필요성이 인정되는 체육시설 등의 공공 문화체육시설, 하천 유수지 방화설비 등의 방재시설, 장사시설 등의 보건위생시설, 하수도·페기물처리 및 재활용시설, 빗물저장 및 이용시설 등의 환경기초시설 등이 있다. 도시계획법에서는 도시계획으로 결정해 설치할 수 있는 다음 각목의 시설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최근 세계 각국은 도시 개발과 사회간접시설의 확충 등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한때 자동차로 붐볐던 서울시청 앞의 교차로는 시민들의 광장으로 변했다. 여름이면 분수에서 쏟아져 나오는 시원한 물줄기를 감상할 수 있고 겨울에는 스케이트를 타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 서울의 청계천과 파리 프롬나드 플랑테, 뉴욕 하이라인도 기존의 시설을 철거해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생태체험공간, 생활 편의시설로 전환해 도시의 생명력을 불어넣고 있다. 산업화시대의 도시는 고층건물과 고가도로를 건설하고 곳곳에 아스팔트로 길을 내는 등 사람보다는 물질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졌다면 산업화시대를 넘어선 문화융합의 시대에는 시민들이 도시에 살면서 누리는 다양한 편의와 혜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근대도시를 상징하는 철도와 도로 그리고 상하수도·전기·가스 공급망 등 하부구조에 중점을 둔 인프라 중심의 도시 기반 시설은 오늘날 도시 활동 전반의 기초 기능인 공항·학교·병원·생태체험공간 등으로 확장됐다. 도로나 상수도 등으로 국한됐던 도시 기반 시설은 디지털 시대에 맞게 생활 편의 시설로의 전환으로 빠르게 변화했다. 또한 눈에 띄지 않으나 도시생활의 기능을 지원하는 5세대(5G) 첨단 통신,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스마트 시스템이 도시 기반 시설을 고도화·지능화시키고 있다. 좁은 공간의 효율적 활용도 스마트 시스템을 통해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했다. 

이처럼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데 있어 기반 시설의 스마트화는 매우 중요하다. 탄소 규제 등 갈수록 친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대와 IT 기술의 발전 등으로 향후 정보기술 기반의 건설 및 환경 분야에서 전문인력에 대한 기업,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IT, 플랜트 등 관련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문가들이 도시기반 시설을 디자인함으로써 시민들이 공감하고 감동하는 도시 환경으로 전환될 것이 분명하다.

인덕대 도시기반시설공학과
인덕대 도시기반시설공학과

- 도시기반시설공학과는 어떤 자질과 능력을 갖춘 학생이 지원하나. 
“가장 중요한 것은 틀에 박힌 사고방식이 아니라 어떤 것이든 문제의식을 갖고 분석해 창의적으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도시기반시설은 과거처럼 공사현장에서 수동적으로 일만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도시인들이 물리적인 편리와 함께 정서적인 안정까지 고려할 수 있는 다층적·심층적인 해석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를 토대로 가장 편안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응용할 수 있는 능력도 길러야 한다. 교과목 중 수학과 과학 과목은 일정한 성취 수준과 함께 학습에 전념하는 고도의 집증력을 갖춰야 한다. 창의적 사고의 밑바탕이 되는 인문학적 소양과 관련된 과목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각 고등학교마다 건축이나 설계 관련 동아리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가입해 활동하는 것도 필요하다.” 

- 도시기반시설공학과의 잠재적 발전가능성을 따진다면.
“앞으로의 도시는 만화 속에서나 봤던 새로운 공간의 창출과 함께 역동적인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변모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점에서 도시기반시설은 매우 중요하고 이를 다루는 창의적 인재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더해질 것이다. 기존의 도시를 새롭게 변모하는 프로젝트도 있지만 아예 처음부터 새롭게 도시를 만드는 기획형 도시도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의 기반 시설은 인간의 편의를 확충하기 위해 스마트화 돼 고도의 기술적 능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도시기반시설과 관련된 전문가는 새로운 도시 공간을 창출하는 선도자로서 높은 경제적 혜택과 함께 풍부한 복지 프로그램도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 학과에 입학하면 어떤 내용을 공부하나.
“3년 과정으로 1학년에는 건설캐드기초, 환경공학의 이해, 지반공학의 이해, 도로공학의 이해, 단지설계기초, 공업역학, 지반환경, 토질역학기초, 4차산업과 도로 등을 배우게 된다. 2학년에는 건설측량, 상하수도설계, 응용역학, 지반개량, 토질역학심화, 도로건설재료, 건설캐드실무, 수자원 설계, 철근콘크리트, 바탈면안정, 지반공학실무, 도로계획실무 등을 공부한다. 3학년에는 단시설계실무, 콘크리트구조설계, 지중구조물, 흙막이설계기초, 도로자동화설계, 구조설계, 구조물기초설계, 캡스톤디자인, 캡스톤캐드설게 등을 배우게 된다.” 

-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은. 
“토목산업기사,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도시계획산업기사, 토양환경기사 등을 취득할 수 있다.” 

- 졸업하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나. 
“일반기업은 종합건설회사, 종합엔지니어링회사, 전문건설회사, 감리회사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공기업은 LH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도로공사, 환경관리공단, 국토안전관리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공무원은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건설과, 토목과, 도로과, 도시과, 철도과, 환경과 등), 정부투자기관 등에서 일할 수 있다. 이밖에도 기타 공공연구소, 대기업 산하 연구소, 건설시험소, 환경산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도시기반시설공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은.
“도시와 관련된 학과는 한림성심대에 건설도시과, 대전과기대에 도시건설과, 동서울대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충청대에 도시건설정보과, 경민대에 도시공간건축과 등이 개설돼 있고 도시기반시설공학과는 인덕대에 유일하게 설치돼 있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