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교육위 국감, 김건희‧국민대 국감으로 가져가야”
與 “기관 증인 채택 먼저 하고 일반 증인은 나중에” 방어전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이 21일 교육위 전체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국회 의사중계시스템 캡쳐)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이 21일 교육위 전체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국회 의사중계시스템 캡쳐)

[한국대학신문 장혜승 기자] 국회 교육위 소속 의원들은 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른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의혹 사건 관계자들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하는 사안을 두고 날선 공방을 벌였다.

교육위 야당 간사인 김영호 의원은 “교육위 국감을 김건희 국감, 국민대 국감으로 가져갈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국민들이 최대 관심을 보이는 사안인 김건희 여사의 논문 표절과 허위이력 문제를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도 국민의힘은 김건희 여사 관련 증인 모두를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누가 봐도 명백한 논문 표절을 용인함으로써 연구부정을 장려하는 오도된 판단으로 연구자들에게 치욕과 불명예를 안긴 사태의 장본인을 국감 증인석에 세울 수 있게 해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강민정 의원도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사건은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 연구수준 전체를 무너뜨릴 수도 있는 그런 사안”이라며 “대학의 기본 연구 능력에 대해 완벽하게 부정당할 상황을 교육위에서 다루지 않고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고 거들었다. 이어 거듭 관련 사건 증인 채택을 촉구했다.

교육위 야당 간사인 김영호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회의사중계시스템 캡처)
교육위 야당 간사인 김영호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회의사중계시스템 캡처)

이에 대해 여당 의원들은 기관 증인 채택 이후에 일반 증인 채택을 논의하자고 방어전을 폈다.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은 기관 증인 채택을 먼저 의결하고 그 다음에 일반 증인 채택 문제를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도 “김영호 의원이 김건희 여사 논문 사건이 교육위 국감의 핵심인 것처럼 말했는데 김건희 여사 논문 사건이 블랙홀도 아니고 그게 핵심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 호도”라고 맞받았다. 이어 “증인없는 국감은 많이 한다. 작년에도 그랬고 올해 여가위에서도 증인 없는 국감을 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기관 증인을 먼저 채택하고 일반 증인은 양당 간사에게 합의 시간을 줘서 논의하도록 하는 게 제대로 된 절차”라고 말했다. 

이에 김영호 의원은 “국민 모두가 주목하는 김건희 여사 사건에 대한 야당 간사의 발언이 여론을 호도한다는 말 자체가 호도”라며 “증인 없는 국감이 정당화된다는 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반발했다.

교육위 여당 간사인 이태규 의원은 “정리되는 사안은 그때그때 처리하고 합의된 사안은 논의해서 보완하는 게 효율적”이라며 기관 증인 우선 채택을 요청했다.

여야 간 공방이 길어지자 유기홍 위원장이 여야 간사 간 중재에 나섰고, 결국 기관 증인을 이날 먼저 채택하고 23일 전체회의에서 일반 증인을 채택하기로 했다.

유 위원장은 “타 상임위도 기관 증인을 (먼저) 채택한 사례가 있다”며 “양당 간사가 23일 회의에서 최대한 합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