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대학신문은 지난 1988년 창간 이후, 대학사회를 대변하는 정론지로서 정확한 보도를 통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한국 고등교육 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고등교육기관은 현재 크나큰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경제의 저성장 추세, 사회적 갈등의 증폭, 산업과 생활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을 맞아 대학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저출산과 고령화, 지역 소멸 문제도 대학들의 큰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윤석열 정부의 출범과 함께 교육 대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에도 대학 현장의 다양한 의견이 한국대학신문을 통해 수렴되고, 고등교육 발전의 자양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교육부도 대학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주체들과 함께 문제해결을 위한 파트너십을 형성해 우리 교육의 대전환 흐름을 이어가겠습니다.
지난해 국민들의 지원과 대학 관계자분들의 노력에 힘입어 고등교육 재정 확충을 위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가 신설됐습니다. 올해에는 늘어난 재원을 바탕으로 고등교육기관이 우리 사회의 성장과 혁신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본격적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대학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저해하는 규제들은 과감하게 혁파하겠습니다. 학사, 정원, 평가, 감사 등 대학 운영 전반에서 혁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가고자 합니다. 나아가 「고등교육법」, 「사립학교법」도 대학 현장과 사회 수요를 적극 반영해 개혁적 입법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바꿔 나가겠습니다. 아울러 부실대학에 대한 구조개혁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대학이 지역사회, 산업계와 상생하고, 혁신의 허브가 되도록 지원하겠습니다. 대학의 역할 없이 지역의 발전은 불가능합니다. 지자체, 대학, 산업체, 정부, 여러 공공기관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인재 육성과 일자리, 정착 등의 선순환 구조가 마련돼야 합니다. 일련의 과정에서 대학이 혁신의 중심축이 되도록, 교육부가 앞장서서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교육 대전환의 중요한 축인 평생학습 분야에서도 대학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대학이 모든 국민의 맞춤형 평생학습 플랫폼이 되도록 지원을 확대하겠습니다.
다양한 고등교육 관계자들의 공기(公器)로서 한국대학신문이 상호 활발한 소통과 신뢰 관계 조성에 계속 기여해 주리라 기대합니다.
<한국대학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