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협 2023년 정기총회서 ‘고등교육 혁신의 방향과 과제’ 주제로 발표
고등교육 문제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지만 규제에 얽매여 있어
저출산, 인구유출 등 문제의 근본 원인은 ‘교육’…대학 역할 중요해져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김헌영 강원대학교 총장은 “고등교육이 제 역할을 못하는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며 지방소멸 위기에 처한 이유를 짚고, 교육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회장을 역임한 김 총장은 31일 서울 양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23년 대교협 정기총회에서 ‘고등교육 혁신의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구 감소보다 청년인구 유출과 수도권 쏠림 현상 등 이러한 현상은 교육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핵심인력들이 지역에 있지 않고 자녀 교육을 위해 수도권으로 이전하면서 저출산 문제, 청년인구 유출 문제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김 총장은 “학령인구의 경우에도 향후 20년 동안 50퍼센트 이상 감소할 것”이라며 “2040년에는 1학년 신입생의 학생 수는 18만 명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지방대학의 미충원은 현실적인 문제라고 지적하며, 69개 미달 대학 중 지방대가 59개교에 달한다고 꼬집었다.
대학 정원감축 정책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김 총장은 “대학 정원 문제는 여전히 심화되고 있다”며 “근본적 문제는 고등교육을 등한시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대학 총장들이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는데, 교육부를 비롯한 정부는 새로운 사업만 만들뿐 규제에 얽매여 있는 시간이 지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총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위협받는 일자리가 70%인 1800만 개에 달하는데 이를 대체하기 위한 인력은 누가 양성하느냐”며 “고등교육이 제 역할을 못하는 원인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등록금 동결에 대한 문제도 지적했다. 김 총장은 “15년째 등록금을 동결하고 있는 가운데 동아대가 인상을 결정했다. 박수를 보내고 싶다”며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국공립대는 25% 감소했고, 사립대는 23.4% 감소했다.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학을 지역 혁신의 허브로, 거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 언론보도에서는 학령인구가 감소하니 대학을 줄여야 한다는데 국민 70%가 공감했는데, 대학 문을 닫는 데 필요한 비용, 사회적 갈등을 생각한다면 대학의 수가 많다고 구조조정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먼저 대학을 지원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수도권, 지방, 국립, 사립 등 대학 각자가 주장할 게 아니라 대학의 기능과 대학의 유형을 생각해서 유형별로 발전모델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가령, 고도의 수준 높은 전문직업인을 양성한다면 대학원 위주로, 폭넓은 직업인이나 종합 교양 교육, 지방평생학습기회 등 교양을 담당한다면 리버럴 아트 컬리지 형태를 제시했다.
공유대학에 대한 안도 제시했다. 김 총장은 “강원대를 예를 들면, 종합백화점식으로 강원대가 중심이 돼 강원도의 열두 개 대학이 위성처럼, 기초나 교양은 강원대에서 수업을 듣고, 각 대학은 지역 특화산업을 중점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라고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