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평균 실질등록금, 평균 명목등록금 대비 국·공립 32.5%, 사립 29.7% 낮아
경상성 경비 비율 70% 이상 사립대학, 2011년 대비 76개교 증가
운영수지 적자 대학 비중, 2011년 대비 2021년 수도권 47.7%포인트, 비수도권 48.0%포인트↑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국·공립대 평균 실질등록금이 2011년 대비 각각 20.8%, 19.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사립대 적자 규모는 비수도권 지속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학 등록금 및 사립대학교 운영손익 현황 분석’을 7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소비자물가인상율을 반영한 국·공립대학 평균 실질등록금은 380만 8000원, 사립대학은 685만 9000원으로 나타났다. 2011년 대비 각각 20.8%, 19.8% 인하된 수준이다. OECD 주요국의 등록금 비교하면 2010·2011년도 대비 2019·2020년도에 모두 인상됐으나 우리나라만 국·공립 581달러, 사립 762달러로 각각 감소했다. 15년간 이어진 등록금 동결·인하로 인해 평균등록금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실질 운영수익 대비 등록금 및 수강료 수입 의존율은 2011년 대비 2021년 모두 7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경상성 경비 비율은 9.2%포인트 증가했다. 실질 운영수익 대비 경상성 경비 비율이 70% 이상인 대학 수도 2011년 62개 2021년 138개로 76개교 증가했다. 경상성 경비 비율이 90% 이상인 대학은 2011년 4개에서 2021년 13개로 증가했으며, 소규모 대학에서 많이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사립대학교 1개교 평균 운영손익은 국·공립, 사립 모두 감소추세를 보였으며, 비수도권 대학의 운영수지 적자가 더 지속적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사립대학 1개교 평균 운영수지 적자 규모는 비수도권 15억 4000만 원, 수도권 2억 4000만 원이었고, 운영수지 적자를 나타낸 대학 비중은 2011년 대비 2021년 수도권 47.7%포인트, 비수도권 48.0%포인트 증가했다.
대교협 관계자는 “장기간의 대학등록금 인하·동결에 따른 사립대학의 열악한 재정 여건 개선을 위한 대학 수익 다각화 및 정부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전 세계적으로 고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투자가 증가 추세에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고등교육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대학 재정 확충뿐만 아니라, 대학의 재정자립 능력향상과 이를 위한 자율성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