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성균관대‧한양대 등 10개 대학 주관 과제 선정
생명과학‧물리학‧화학 등 다양한 기술 분야 과제로 구성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 비용 50억+소요 비용 5억 등 지원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사진=한국대학신문DB)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서울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 10개 대학이 주관해 진행하는 과제가 ‘기반(인프라) 고도화’ 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에 선정된 연구소‧연구지원시설은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 비용 50억 원과 운영을 위한 연평균 5억 원이 5년간 지원된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는 20일 대학의 첨단 연구개발(R&D) 장비 도입 및 운영을 지원하는 ‘인프라 고도화’ 사업에 10개 과제가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장비 구축비 20~50억 원 미만인 중형 과제 5개와 장비 구축비 50~70억 원 이하인 대형 과제 5개로 총 10개다.

(자료=교육부)
(자료=교육부)

선정된 중형 과제의 주관기관은 △이화여대(생명과학) △포항공대(전기/전자) △숙명여대(생명과학) △부산대(물리학) △경상국립대(화학) 등 5곳이며, 대형 과제는 △서울대(뇌과학) △한양대(화공학) △전북대(전기/전자) △포항공대(생명과학) △성균관대(재료‧소재) 등 5곳이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생명과학, 물리학, 화학, 전기‧전자 등 다양한 기술 분야로 기술 분야로 구성돼 있다. 총 81개의 과제가 접수됐으며, 서면‧발표‧현장 방문 평가 등 3차례에 걸친 심도 있는 평가를 거쳐 10개 과제가 선정됐다. 선정된 과제 수행을 위한 장비 지원액은 관련 법령에 따라 ‘국가연구시설장비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인프라 고도화 사업을 통해 대학 소속 연구소, 연구지원시설은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 비용으로 평균 50억 원을 지원받는다. 연구시설‧장비 운영‧관리 및 개선, 전담운영인력 육성‧운용에 소요되는 비용 등으로 연평균 5억 원을 5년간 추가 지원한다.

도입된 첨단 연구개발 장비는 핵심 연구자가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혁신적 연구성과를 도출하는데 주로 활용되고, 연구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대학 내외의 연구자와 연구기관들이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장려할 예정이다. 아울러 첨단 연구개발 장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담운영인력을 육성‧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기존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장비 구축 지원 사업이 장비를 도입한 이후 운용‧관리하는 비용을 연구자의 몫으로 남겼다는 한계가 제기됨에 따라 이번 사업은 첨단 연구장비 구축과 관리‧운영 비용을 일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됐다.

심민철 인재정책기획관은 “대학이 연구진의 우수한 역량과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물적‧인적 기반을 구축하는 첫발을 내딛었다”며 전 세계적 경쟁 상황에서 대학이 세계 최초‧최고의 연구성과를 창출해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