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물성연구소, 78억 규모 교육부 인프라고도화 사업 선정
반도체 분야 첨단 연구시설 구축, 반도체 인프라 시너지 기대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가 세계적 수준의 혁신적인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총 734억 원을 투입하는 첨단 연구개발(R&D) 장비 도입·운영 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는 대학의 첨단 연구개발(R&D) 장비 도입 및 운영을 지원하는 ‘기반(인프라) 고도화’ 사업으로, 장비 구축비 20~50억 원을 지원하는 중형 과제 5개, 50~70억 원을 지원하는 대형 과제 5개를 선정했다.
전북대는 지역 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전기/전자 분야 대형 과제에 선정돼 54억31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반도체 분야 첨단 연구시설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연구시설·장비 운영·관리 및 개선, 전담운영인력(테크니션) 육성·운용에 소요되는 비용도 5년간 23억7500만 원을 추가로 받게 된다.
전북대에는 반도체과학기술학과와 전기·전자, 신소재, 화학공학, 물리, 유연인쇄 등 다수의 반도체 유관학과가 운영되고 있으며, 반도체로 인해 파생될 여러 분야의 교육과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또한 지난해 교육부가 공모한 387억 원 규모의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과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세부 분야인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이하 반도체소부장)’에 컨소시엄 대학 등 주요 정부 사업에 참여하고 있고,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반도체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차세대 모빌리티용 반도체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는 등 반도체 인재양성 분야에 큰 강점을 갖고 있다.
이번 첨단 연구개발(R&D) 장비 도입·운영 사업 선정에 따른 반도체 분야 첨단 연구시설의 구축으로 전북대가 추진하는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미래 첨단산업 견인 계획들이 큰 시너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책임자인 최철종 반도체물성연구소 소장과 핵심연구자인 허근 반도체공연구센터 센터장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차세대 반도체 분야의 핵심 연구성과 창출과 전문인재양성, 기업 지원 등에서 큰 시너지가 기대된다”며 “범지역적 역량을 하나로 모아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에도 나서고 있는 만큼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