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자유전공학과 신설 신입생 42명 모집 ‘학생 전공 선택권 강화’
기존 학사구조 개편해 7개 학부제로 세분화… 융합 교과과정 운영
AI·BIO 분야 특화인력 양성, 실무 중심 교육 강화… 취업 경쟁력 ‘UP’
[한국대학신문 송아영 객원기자] 재능대학교(총장 이남식)는 개교 53주년을 맞아 ‘대학중장기발전계획(JEIU GRAND VISION 2030)’을 수립하고 ‘미래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평생직업교육대학’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보다 나은 교육을 통한 보다 나은 삶’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특히 ‘글로벌 평생직업교육대학’으로의 도약을 위해 2025학년도 학과 구조개혁을 실시했는데, 주요 내용은 △자유전공학과 신설 △7개 학부제로의 학사구조 개편이다.
내년에 신설되는 ‘자유전공학과’에서는 42명의 신입생을 모집해 학생의 전공 선택권을 강화한다. 또한 글로벌 교육정책에 맞춰 외국인 유학생 등 다양한 교육 수요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교양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4개 계열, 1개 학부로 운영되던 기존의 학사구조는 내년부터 ‘7개 학부’로 세분화된다. 7개 학부는 △바이오·헬스케어학부 △AI융합학부 △문화콘텐츠학부 △웰니스학부 △서비스경영학부 △미래창업학부 △자유전공학부로 구성된다.
학부제 개편의 핵심은 융합 교과과정 운영이다. 이남식 재능대 총장은 “이번 구조 개혁으로 교육 과정을 공유할 수 있는 학과 간 더욱 긴밀한 협력을 할 수 있게 됐다”며 “대학의 독자적인 융합 교과과정으로 학과 간 장벽을 해소하고 나노디그리 등 국제적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교육과정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방침이다”라고 설명했다.
수업연한이 2년이었던 ‘게임개발학과’와 ‘실용음악과’는 3년제로 개편된다. 게임개발학과의 3년제 전환은 기존 3년제 학과인 게임아트디자인과의 융합 교과과정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2개 학과 공통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게임 기획, 그래픽, 프로그래머 등의 인재를 양성할 예정이다. 실용음악과는 3년제 전환으로 실기 교육이 더욱 강화된다. 작곡에서 연주, 프로듀싱에 이르기까지 음악 창작 활동의 전 과정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고루 갖춘 음악인을 양성할 계획이다.
AI와 BIO 분야 특화인력 양성을 위한 실무 중심 교육도 강화한다. 인텔 AI 교육과정과 연계한 실리콘밸리 인턴십 프로젝트, BIO 분야 특화인력 양성을 위한 취업 특별반 프로그램 운영,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교수법 등을 제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경험과 역량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취업에 유리한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2024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선정 = 재능대는 올해 고용노동부 주관 ‘2024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신규 운영대학으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최대 6년간 연간 3억 원씩 총 18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은 대학 내 진로지도 및 취업지원 기능의 공간적 일원화, 기능적 연계 등 원스톱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대학의 취·창업 역량 강화와 청년의 원활한 노동시장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이 사업은고용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 대학이 공동으로 예산을 투입해 운영된다.
재능대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선정으로 관리·지원체계 일원화를 위한 전담 조직을 개편한다. 구체적으로는 △직무·구직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 비정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센터 중심의 원스톱 진로·취업 지원을 위한 경력개발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 △지역산업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및 일자리 매칭 실현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한 정부의 주요 청년일자리사업에 대한 홍보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 LINC 3.0 우수대학, 5천평 드론비행장 운영 = 재능대는 대학의 산학연 협력을 고도화해 기업과의 협업체계 구축, 취‧창업 지원 등의 다양한 협력 요소를 종합지원하는 LINC3.0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재능대 LINC3.0 사업단은 인천시 8대 전략산업과 매칭한 에이아이 빅데이터(AI Big Data), 바이오 헬스케어(Bio Healthcare), 뷰티 코스메틱(Beauty Cosmetic) 3개 기업협업센터(ICC)를 만들고 관련 학과·연구소를 연계한 생태계를 구축했다.
또한 차세대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드론분야를 특화해 AI드론산학협의회를 설립하고 인천 소재 대학 중 최초로 재능대 송도글로벌캠퍼스에 AI드론연구소와 5000평 규모의 전용 비행장을 구축했다. 이러한 뛰어난 인프라를 기반으로 재능대는 교육부로부터 ‘2023년 산업맞춤 단기직무능력인증과정(매치業) 사업’에 항공·드론 분야로 신규 선정됐다. 사업 선정으로 4가지 교육과정(드론 설계, 드론 특수촬영, 드론 군집비행, 드론 3D맵핑)을 개발‧운영하게 되는데 3년간 총 9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을 예정이다.
재능대는 인공지능 드론·영상분야의 우수인재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향후 군인·경찰·소방 등 전문직과 일반인 맞춤형 드론 비행 교육과정 등을 단계적으로 개발해 인천이 드론산업의 중심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할 계획이다.
[우리 대학 이렇게 뽑는다] 정원내 전형 2회 복수지원 가능
재능대는 총 모집인원 1279명의 90.8%인 1161명을 수시모집에서 선발한다. 특히 2025학년도부터 신설되는 ‘자유전공학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유전공학과는 정원 42명 중 수시 1차에서 32명의 학생을 선발한다. 자유전공학과에서는 여러 학과의 수업을 들으며 학과에서 무엇을 배우는지를 스스로 경험할 수 있다.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이라면 자유전공학과 입학을 통해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확인한 후 학과를 최종 선택하는 것이 좋다.
재능대는 자유전공학과 신입생들을 전폭 지원하기 위해 진로지도 전담교수와 처장단으로 구성된 Academic Advisor를 운영, 학생들을 위한 1대 1 멘토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자유전공학과 신입생 대상 학과설명회’를 3회 이상 개최해 각 학과에 대한 정보 탐색의 기회를 적극 제공할 계획이다. 학생들은 1학년 1학기에 최소 2개 이상의 전공과목을 경험한 후 2학기에 최종적으로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자유전공학과는 학생부 성적만을 반영한다.
재능대 수시 전형은 일반고전형과 특성화고전형으로 나뉘며, 올해부터는 특기자전형이 신설됐다. 수시 특별전형은 일반고전형, 특성화고전형, 특기자전형, 성인친화전형, 실기전형으로 세분화된다. 특별전형에서 일반고전형은 일반고 학생뿐 아니라 검정고시 출신도 지원 가능하다. 특성화고전형은 특성화고와 함께 과학고·외고·마이스터고 등 특수목적고 학생의 지원이 가능하며, 일반고 학생 중 1학기 이상의 직업과정 이수(예정)자도 특성화고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특기자 전형은 4개 학과(드론영상과, 호텔외식조리과 호텔외식조리전공, 호텔외식조리과 베이커리카페전공, 게임아트디자인과)만 해당이 된다. 지원자격은 학과 관련 국가 및 민간 자격증 소지자 또는 공모전 이나 대회 수상자가 해당된다.
일부 학과의 전형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학과는 학생부 성적만을 반영한다. 고교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총 5개 학기 중 성적이 우수한 1개 학기가 자동 반영된다.
면접을 보는 학과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래창업학부와 함께 호텔관광과‧항공서비스과다. 면접 반영 비율은 60%로 면접이 당락을 좌우할 수 있는 학과는 항공서비스과이며, 면접 60%와 학생부 40%를 반영한다. 면접 반영 비율이 40%인 학과는 호텔관광과로 수시1‧2차 모두 일반고 전형과 특성화고 전형으로 분리해 모집한다. 실용음악과는 실기전형을 통해 실기 80%와 학생부 20%로 모집한다. 실용음악과는 실기를 진행하는 유일한 학과다. 게임아트디자인과 특기자전형은 면접 점수가 60% 반영된다.
성인학습자의 인생 이모작을 돕고 재직자의 일‧학습 병행을 지원하는 ‘미래창업학부’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운영학과로는 외식조리창업과, 복지케어과, 디지털융합학과(이커머스전공, 드론전공, 디지털강사양성전공)로 3개과에서 170명을 모집한다. 전체 모집정원의 약 13% 규모다. 전년도부터 지원 자격의 폭을 넓혀 25세 이상인 자(01년도 이전 출생자)부터 지원할 수 있다. 면접 40%와 학생부 60%를 반영한다.
면접이 진행되는 모든 학과의 예상 질문은 대학 홈페이지에 미리 공지되므로 미리 확인하고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해 학과 간 복수지원, 전형 간 복수지원이 가능하도록 벽을 낮춰 자신에게 맞는 전형 및 학과를 살펴보고 지원하면 합격률을 높일 수 있다. 2025학년도 지원자는 정원내 전형에서 2회까지 복수지원이 가능하다.
■ 입학 홈페이지: https://apply.jeiu.ac.kr:4443/apply
■ 입학상담 및 문의: 032-890-7020, 7021












































































